오세훈 "백사마을에 3천세대…달동네서 사회통합 상징으로"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오세훈 서울시장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늘(9일) 오전 서울의 마지막 판자촌으로 불린 노원구 중계동 '백사마을'을 방문해 철거 상황을 점검하고 차질 없는 주택공급을 위한 지원을 펼치겠다고 밝혔습니다.

노원구 중계본동 30-3번지 일대 백사마을은 1960년대 도심 개발로 청계천·영등포 등에서 살던 철거민 1천100여명이 불암산 자락에 정착하면서 형성된 곳입니다.

2009년 재개발정비구역으로 지정된 후 2012년 주거지보전사업으로 추진됐으나, 분양주택과 임대주택 분리 이슈와 열악한 지역 여건으로 인한 낮은 사업성 탓에 16년간 답보 상태였습니다.

주거지 보전은 저층 주거지 등 동네 일부를 보존하고 아파트와 주택을 결합하는 형태의 재개발을 말합니다.

이에 시는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와 함께 걸림돌로 작용했던 주거보전용지를 공공주택용지로 변경하고, 보정계수 적용, 용도지역 상향 등을 통해 사업성을 대폭 개선했습니다.

백사마을은 지난달 정비계획 변경을 통해 최고 35층, 공동주택 26개동, 3천178세대(임대 565세대 포함) 규모의 명품단지로 탈바꿈하게 됐습니다.

기존 2천437세대(임대 484세대 포함)에서 741세대를 추가로 확보해 사업성을 개선했는데 시는 대규모 주택공급과 저소득 주민의 입주 기회를 확대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광고 영역

분양주택과 임대주택 획지 구분 없이 통합 개발해 서울 대표 소셜믹스 사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시는 지역 특성상 무허가 건물에 살던 세입자에 대해선 이주 시 인근 임대주택에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준공 후 임대주택을 통한 재정착도 지원할 계획입니다.

철거 작업도 절반 가량 진행 중입니다.

올해 5월 본격 철거 시작 후 현재 전체 1천150동 중 611동의 철거가 완료됐고, 12월 해체공사를 완료 후 착공에 들어갈 예정으로 2029년 입주가 목표입니다.

현장을 방문한 오 시장은 철거 진행 상황을 직접 점검하고 철거·착공·준공·입주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신속하고 투명하게 추진하라고 관계자들에게 요청했습니다.

오 시장은 "백사마을은 더 이상 달동네가 아닌 주민 편의와 삶의 질 향상을 최우선으로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벽 없이 어울려 살아가는 '사회통합의 상징 공간'으로 재탄생할 것"이라며 "2029년 이곳이 새로운 희망의 터전이 될 수 있도록 투명하고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