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일본 자동차 관세 15% 시행…한국은 '감감'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앞서 일본과 합의한 대로 일본산 자동차의 관세를 15%로 낮추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우리도 관세를 낮추기로 합의는 했지만, 아직 행정명령이 나오지 않아 지금은 25%를 적용받습니다. 결국 당분간은 가격 경쟁력의 약화가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 내용은, 홍영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월 22일 타결된 미·일 무역 협상 결과를 이행하라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미국은 일본산 자동차에 기존 관세에 품목별 관세 25%를 더해 27.5%의 관세를 적용해 왔는데, 이를 15%로 낮추기로 한 합의를 실행하는 절차에 들어간 겁니다.

[이시바 시게루/일본 총리 : 관세 교섭은 최우선 과제로서 정부는 하루라도 빨리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일본 언론은 공동성명 문서와 양해각서도 교환했다며, 5천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의 이익을 분배하는 내용도 담겼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조치로 일본은 자동차 관세 15%를, 일주일에서 늦어도 2주 안에는 적용받을 전망입니다.

문제는 25%의 품목 관세가 유지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부담이 커졌다는 겁니다.

광고 영역

지난해 현대차가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판 차종인 투싼의 미국 현지 가격은, 경쟁 차종인 일본 도요타의 라브4보다 2.9% 저렴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보다 일본이 먼저 10%P 낮은 관세를 적용받게 되면서 가격 경쟁력이 역전될 상황입니다.

[김경유/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우리는 10% 더 관세를 물고 지금 미국으로 들어가야 되는 상황이니까 장기가 된다고 하면 분명히 우리한테는 굉장히 큰 타격이죠.]

우리 정부는 3천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체화 방안을 놓고 미국과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정부는 불리하지 않은 조건을 관철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는 입장인데, 자동차를 지렛대로 한 미국의 압박이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영상편집 : 김윤성, 디자인 : 방민주·제갈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관세 전쟁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