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살 김주애 외교무대 등장…4대 세습 굳히나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김정은 위원장의 이번 중국 방문에는 딸 김주애가 동행했습니다. 3년 전 김주애가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낸 이후에, 해외 일정을 소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열병식이 진행된 톈안먼 망루에는 오르지 않았습니다.

이 내용은, 김아영 기자입니다.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용열차가 어제(2일) 오후 중국 베이징역에 도착하는 장면입니다.

김 위원장이 먼저 내린 뒤 딸 김주애의 모습이 나타납니다.

성인 여성처럼 남색 바지 정장에 단정하게 머리를 묶은 모습인데, 북한 외교를 총괄하는 최선희 외무상보다 앞자리에 섰습니다.

중국에서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비서실장 격인 차이치 당 서기와 왕이 외교부장 등이 영접을 나왔습니다.

영접 장면이 다 공개되지는 않았는데, 김주애가 이들과 인사를 나눴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3년 전인 9살 때, ICBM 발사 현장에 처음 등장하면서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낸 김주애가 북한의 해외 외교 일정에 나타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광고 영역

김 위원장과 함께 톈안먼 망루에 올라가 전승절 열병식을 지켜볼 거라는 관측도 나왔지만, 망루에서 김주애의 모습은 전혀 포착되지 않았습니다.

지난 2015년, 중국 전승절 70주년 열병식 때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후계자로 지목한 당시 11살 아들과 망루에 함께 섰던 전례가 있지만, 김 위원장은 김주애와 동반 참관을 선택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김 위원장의 첫 다자 정상외교인데다 북중러 정상이 한자리에 모였다는 점을 고려한 거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상근/국가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북중러) 삼자가 서서 '여차하면 우리 삼자 협력을 할 수도 있어'라는 일종의 (대미) 경고란 말이에요. 거기 포커스가 맞춰져야 하는데 김주애가 끼게 되면 모양새가 이상해지죠.]

김주애는 지난 5월, 김 위원장이 평양 주재 러시아 대사관을 방문했을 때에도 동행하는 등 북한 내부에서 열린 외교 행사에서는 이미 존재감을 드러낸 바 있습니다.

위상이 높아지면서 리설주가 맡았던 퍼스트레이디 역할까지 사실상 수행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그동안 세 차례 방중에 동행했던 김 위원장의 부인 리설주는 이번 방중에는 함께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베이징 도착 장면에서도 리설주의 모습이 포착되지 않았고, 시진핑 주석 부부가 함께 각국 정상과 배우자를 맞이한 열병식 행사에서도 김 위원장은 혼자 참석했습니다.

(영상편집 : 김호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