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에서 '3점슛' 도입은 1979년 미국 프로농구 즉 NBA가 그 시초입니다. 이전에는 림 바로 아래에서 넣든 20m가 넘는 장거리 슛을 집어넣든 모두 2점으로 처리했습니다. 3점슛 규정이 생기면서 플레이의 양상은 달라졌습니다.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는 양궁에도 변화의 새 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이른바 '11점제'가 도입된 것입니다. 현재는 시험 단계이지만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부터 '11점제'가 공식 채택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X10' 맞히면 1점 더해 11점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의 김경욱 선수는 여자 개인전 금메달을 따냈습니다. 이때 김경욱은 만점인 10점 과녁 정중앙에 설치된 지름 1cm 카메라 렌즈를 두 번이나 깨트리면서 모두를 경악케 했습니다. 당시 현장에서 취재 중이던 필자를 비롯해 많은 관계자들은 "저런 때는 11점을 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왔습니다.
이로부터 29년이 흐른 지난 5월 세계양궁연맹은 마침내 '11점제'를 시험 운영했습니다. 그 첫 무대는 튀르키예 안탈리아에 열린 양궁 월드컵 3차 대회이었습니다. 10점 과녁 안쪽에 있는 더 작은 원, 이른바 '엑스 텐'(X10)이라고 부르는 위치를 맞히면, 1점을 더해 11점으로 인정하기로 한 겁니다. 즉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10점과 11점을 처음으로 세분한 것입니다.
'엑스텐'은 지름이 6.1cm에 불과합니다. 70m 떨어진 거리에서 500원짜리 동전 두 개 정도 크기의 원을 명중시키면 11점입니다. '11점제'에서는 세트 당 기존보다 3~6점까지 더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고 승패의 중요한 변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양궁의 재미를 더하기 위해 '11점제'를 한번 테스트한 것인데 결과는 어땠을까요?
'11점제 유탄'..세계 최강 김우진 32강전 패배
사상 처음으로 '11점제'가 도입된 월드컵 3차 대회에서 최대 이변은 바로 남자 간판스타 김우진의 32강전 패배였습니다. 지난 2024 파리올림픽 3관왕에 올랐던 김우진은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강. 하지만 김우진은 32강전에서 세계 랭킹 10위의 스페인의 안드레스 테미노와 맞붙어 패배했습니다. 만약 '11점제'가 없었다면 김우진이 승리하는 경기였습니다. 승부처인 3세트에서 김우진은 10-10-9를 쐈는데, 상대가 11-11-8, '엑스텐'을 두 발 쏘면서 1점을 앞서게 된 겁니다. 종전처럼 10점 만점제로 했으면 김우진이 29점, 상대가 28점으로 승부가 뒤바뀔 수 있었던 상황이었지만 11점제 탓에 패배한 경기였습니다.
반면, 여자부 세계 최강 임시현은 '11점제'의 이득을 보기도 했습니다. 16강전에서 우크라이나의 아나스타샤 파블로바에 6대 2로 승리했는데, 이때 임시현은 4세트까지 전체 12발의 화살 중 5발을 '엑스텐'(11점)에 명중시키며 3세트를 먼저 따냈습니다. 만약 10점제 방식이었다면, 이 경기는 5세트까지 가는 접전이 펼쳐졌을 것이고, 승패는 달라졌을 수도 있었습니다.
'11점제' 한국 양궁에 다소 유리
'11점제'가 처음 도입된 월드컵 3차 대회에서 한국은 금메달 4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며 세계 정상을 재확인했습니다. 대한양궁협회의 분석에 따르면 결론적으로 '11점제'는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전문가들은 '11점제'가 궁극적으로 한국 양궁에는 조금 유리할 수 있다는 진단을 내리고 있습니다.
지난 5월, 중국에서 열린 월드컵 2차 대회 단체전 기록을 분석해 보면, 리커브 남자 대표팀은 전체 화살의 59%를 10점에 꽂아 넣었고, 10점 중 47%가 '엑스텐'이었습니다. 반면, 외국 선수들의 10점 화살 비율은 40%로 한국보다 낮았고, 그중에서도 31%만이 '엑스텐'에 들어갔습니다. 여자 대표팀도 마찬가지인데, 한국 대표팀은 화살의 46%가 10점, 이 가운데 45%가 '엑스텐'이었던 것에 비해 외국 선수들은 10점 비율이 27%, '엑스텐'은 이 중 25%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결국 10점을 많이 쏴야 '엑스텐'에 들어갈 확률도 높아지는데, 한국 양궁은 현재 10점 비율이 다른 나라 선수들에 비해서 매우 높습니다. 지난해 파리올림픽 결과를 놓고 분석해도 마찬가지입니다. 한국 선수들이 '엑스텐'에 훨씬 더 많이 쏘았고 그 결과 한국 양궁은 전무후무한 5개 전 종목 석권 신화를 달성했습니다.
'11점제' 도입에 대해 여자 최강 임시현은 "저희끼리는 살짝 우스갯소리로 '10점까지는 실력인데 엑스텐은 운이 아니냐' 이런 얘기를 했었는데, '아. 운이면 안 되는구나 이거, 열심히 집중해야겠다' 이 생각으로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라고 밝혔고 김우진은 "우리 선수들이 항상 기록을 재면 10점과 엑스(엑스텐)의 개수는 항상 다른 나라 선수들보다 많이 쏴요. 의외성을 갖고 있다는 생각보다는 우리에게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는 하나의 룰이지 않을까 생각을 갖습니다"라며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LA 올림픽에 양궁 '11점제' 도입될까?
'11점제'는 지난 7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벌어진 월드컵 4차 대회에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9월 5일부터 광주에서 열리는 세계선수권도 종전대로 10점제입니다. 하지만 세계양궁연맹은 '11점제'를 계속 검토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11점제'가 처음 도입된 월드컵 3차 대회에서 세계 최강 김우진이 조기 탈락하는 이변이 발생한 점을 눈여겨보고 있습니다. '11점제'가 양궁의 의외성을 높일 수 있고 시청자의 흥미를 더 자극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970년대 후반부터 한국 양궁이 절대 강자로 군림하자 세계양궁연맹은 한국을 견제하기 위해 경기 방식을 숱하게 변경해 왔습니다. 그때마다 우리 양궁은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적응해 왔고 지난 40년 넘게 세계 1위 자리를 내주지 않고 있습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