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만에 비닐백 폐지…'방염백·스티커' 도입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올해 초 여객기 보조배터리 화재 이후 기내에선 비닐백에 배터리를 담아 보관하도록 규정이 바뀌었는데,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나오면서 정부가 새로운 대책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다음 주부터 비행기 선반에 보조배터리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특수 스티커를 붙이고, 불이 붙었던 보조배터리를 분리해 보관하는 방염팩 비치를 의무화합니다.

하정연 기자입니다.

<기자>

기내 선반에서 연기가 흘러나오자 승무원들이 다급하게 움직입니다.

선반을 열자 이미 보조배터리에서 불길이 커진 상황,

[바로 진화하겠습니다.]

올 초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처럼 실제 상황이라면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부는 지난 3월부터 기내에선 보조 배터리를 비닐백에 담아 보관하도록 하는 안전 대책을 시행했는데, 다음 달부터는 비닐백 제공을 중단합니다.

과충전 등으로 인한 화재를 막을 수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고, 비닐 쓰레기만 양산한단 논란도 끊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광고 영역

정부는 비닐백 대신 원하는 승객에게만 절연 테이프를 제공하고, 보조배터리 화재를 1차 진압한 후 보관할 수 있는 방염 백을 의무적으로 비치하도록 했습니다.

이게 바로 방염백이란 건데요. 양쪽에 물을 부어서 활용하게 됩니다. 앞으로 국적 항공사 모든 항공기는 이걸 2개 이상 필수로 비치해야 합니다.

[김승현/대한항공 객실훈련원 교관 : 리튬배터리 화재 같은 경우는 추가적인 열폭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열폭주 현상으로부터 저희 승무원과 승객들을 지키기 위해서 컨테인먼트백(방염백)에 넣어서….]

또 기내 선반에 온도 감응형 스티커 부착도 의무화하기로 했습니다.

온도 변화에 따라 스티커 색깔이 변해 선반 안 보조배터리 발열 여부를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런 조치들은 다음 달 1일부터 시행됩니다.

국적 항공기에만 적용되는 조치이지만, 정부는 국제기구와도 긴밀히 협의하겠단 입장입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 영상편집 : 최혜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