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136명 수몰' 일본 해저탄광서 희생자 인골 추정 뼈 발견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조세이 해저탄광에서 발견된 유골

일제강점기 조선인 노동자 136명 등이 숨진 일본 조세이 해저탄광에서 당시 희생자 인골로 추정되는 뼈가 발견됐습니다.

일본 시민단체 '조세이 탄광 수몰사고를 역사에 새기는 모임'(새기는 모임)은 오늘(25일) 오후 2시쯤 혼슈 서부 야마구치현 조세이 탄광 사고 현장에서 수중 조사를 통해 사람의 대퇴부 뼈 등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수습했다고 밝혔습니다.

인골 추정 물체는 3점이며 가장 긴 것은 42센티미터입니다.

이들 물체를 찾아낸 한국 잠수사는 야마구치현 지역 방송에 "근처에 3명분의 장화가 떨어져 있다"며 "4명분의 유골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새기는 모임은 신원 확인 등을 위해 이들 물체를 경찰에 인도했습니다.

이 모임은 내일(26일)도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어서 희생자 인골로 짐작되는 뼈가 추가로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새기는 모임은 지난해 9월 조세이 탄광에서 수중 조사를 시작했지만 지금까지 인골을 찾지 못했습니다.

광고 영역

송종원 대한불교관음종 사무국장은 "한일 잠수부 공동 조사로 희생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을 찾아냈다"며 "'사막에서 바늘 찾기'에 비유될 만큼 어려운 일이었는데 유골이 나와 깜짝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관음종은 30여 년간 일본에 흩어진 일제강점기 조선인 희생자 유골 환국 사업을 추진해 왔습니다.

조세이 탄광 참사는 1942년 2월 3일 혼슈 서부 야마구치현 우베시 해안에서 약 1㎞ 떨어진 해저 지하 갱도에서 발생했습니다.

갱도 누수로 시작된 수몰 사고로 조선인 136명과 일본인 47명 등 모두 183명이 사망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희생자 수습과 사고 경위를 둘러싼 진상 규명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새기는 모임은 일본 정부에 지원을 요청해 왔지만, 일본 정부는 유골 매몰 위치가 분명하지 않고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다는 이유 등을 들어 정부 차원 조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사진=대한불교관음종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