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위험 축소" 논란 일자…환경부, '검사 지점' 바꾼다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강에 녹색 물감을 풀어놓은 듯한 이 녹조 현상은 매해 되풀이되며 해를 더해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죠. 그동안 이 녹조를 측정할 때 물을 어디서, 어떻게 뜨느냐를 놓고 환경단체와 정부 사이에 논쟁이 있었는데요. 환경부가 환경단체의 요구를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문제가 뭐였는지, 장세만 기후환경전문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

<기자>

40일 넘게 녹조 조류경보가 내려진 낙동강, 녹조 조사선을 타고 나가 봤습니다.

대구시로 보낼 수돗물 원수를 받는 매곡 취수장 부근도 녹색으로 물들었습니다.

그런데 현행 규정상 수돗물 안전을 위한 녹조 검사는 취수장에서 2km나 떨어진 상류에서 이뤄집니다.

그중에서도 녹조가 많이 끼는 가장자리 강기슭이 아니라 유속이 빨라서 상대적으로 녹조가 덜 끼는 강 한가운데서 뜨는 식입니다.

두 지점을 하늘에서 내려다 보니, 취수장은 유속이 떨어지는 강 가장자리에 있다 보니 강 상류 한가운데보다 녹색이 짙습니다.

[곽상수/낙동강네트워크 공동대표 : 우리가 현장 조사할 때는 엄청 심해, 이런 생각을 늘 하지만 환경부에서는 문제없다 이런 식으로 계속 결과가 나오니까요.]

광고 영역

정부가 녹조 위험을 축소한단 지적이 잇따랐고, 2021년 정부가 개선을 약속한 지 4년 만에 검사 지점을 바꾸기로 했습니다.

다음 주부터는 취수장으로부터 50m 이내에서 물을 뜨겠다는 겁니다.

[김성환/환경부 장관 : 이렇게 하면 아무래도 녹조 정보(검사)를 취정수장의 근처에서 하기 때문에 정수 처리 강화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거라고 판단합니다.]

다만 표층, 중층, 하층 등 수심에 따라 물 샘플을 섞는 방식은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승준/경북대 응용생명과학과 교수 : 표층, 중층, 하층을 섞어 쓰는 혼합 방식보다는 각각 조사하는 층별 조사가 더 적합하기는 한데요. 이런 부분들도 차후에 조금 개선이 필요하죠.]

물을 떠 결과 공개까지 3.5일 걸리던 걸 채수 당일 공개로 단축하기로 하고, 조류 경보 기준에 유해 독소 양도 포함하기로 했습니다.

또, 환경부는 공기 중 녹조 독소가 사람 코로 유입되는 문제와 관련해 흡입 독성 실험을 추진하는 등 연말까지 녹조 종합대책을 내놓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최준식, 영상편집 : 원형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