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365

26년 만에 SOC 예타 완화…지방 '세컨드홈' 세제 혜택


동영상 표시하기

[경제 365]

정부가 수도권과 지역 간 경제 불균형 해소를 위해 지방 건설경기 활성화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사회간접자본, SOC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기준을 대폭 완화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오늘(14일) 열린 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방 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총사업비 500억 원·국가 재정지원 300억 원 이상인 현행 예타 대상 기준을 총사업비 1천억 원·재정지원 500억 원 이상으로 상향하고, 평가 항목도 지역 전략사업을 우대하는 방향으로 개편을 추진합니다.

이는 1999년 제도 도입 이후로 26년 만의 공식 개정입니다.

정부는 또 올해 SOC 예산 26조 원을 신속 집행하는 등 공공부문 SOC 투자를 확대하고, 전국 15개 첨단 국가산업단지의 조기 착공을 위해 행정절차를 단축하고 세제지원도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

앞으로는 서울에 집을 한 채 가진 사람이 지방에 '세컨드홈' 한 채를 추가로 사더라도 1주택자로 인정되는 지역이 늘어납니다.

광고 영역

정부는 기존에 1주택 세제 혜택을 주던 대상 지역을 인구감소지역에서 비수도권 인구감소관심지역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강원 강릉과 동해, 경북 경주와 김천, 전북 익산 등 9개 지역에서 별장처럼 세컨드홈을 사더라도 1주택 특례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또 기존 80개 인구감소지역의 1주택 특례 대상 집값 기준도 공시가격 4억 원에서 9억 원으로 대폭 높이기로 했습니다.

---

이달 31일 종료 예정이던 수송용 유류에 대한 유류세 한시인하 조치가 오는 10월까지 연장됩니다.

기획재정부는 국민 유류비 부담을 고려해 현재 휘발유에 10%, 경유 및 액화석유가스 부탄에 15%씩 적용 중인 인하율을 이처럼 두 달간 추가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2021년 말부터 시작한 정부의 유류세 인하는 이번 조치까지 17번째입니다.

(영상편집 : 김병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경제 365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