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 한반도·중국·일본의 다른 기억…주목할 신간은?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1945년 한반도와 중국, 일본에서 당시의 코리안들은 어떻게 8.15를 맞았고, 이를 바라보는 현재 세대들의 시각은 어떤지 조망해 봅니다.

이번 주 읽어볼 만한 신간들을 이주상 기자가 소개해 드립니다.

<기자>

[해방의 기억 /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 지식의날개]

한반도와 중국, 일본에서 8.15를 맞이한 코리안들의 삶, <해방의 기억>입니다.

8.15는 우리에게는 광복절이지만 일본은 종전기념일이고 중국은 9월 3일을 항일전쟁승리기념일로 삼고 있습니다.

일본은 항복했지만, 중국인들에게 만주에 있던 조선인들은 일본의 앞잡이일 뿐이었습니다.

서로 다른 공간과 세대로 확장해 8.15의 의미를 생각해보게 해줍니다.

광고 영역

---

[1860, 근대의 시작 / 김인호 / 글항아리]

동학을 다룬 역사서와 문학작품을 통해 동학의 역사적 의미와 세계사적 가치를 짚어낸 <1860, 근대의 시작>입니다.

문학평론가인 저자가 동학 유적지를 답사하며 문학작품의 장면을 되돌아보고 동학의 실체를 탐구합니다.

근대의 기점을 일본의 영향 아래 있었던 '갑오개혁'이 아니라 집강소를 설치했던 동학농민혁명으로 봐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합니다.

---

[심미안 수업 / 윤광준 / 지와인]

가치 있는 것을 알아보는 방법 <심미안 수업>입니다.

아름다움을 느낀다는 건 결국 이해한다는 것이고, 심미안은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성장하는 능력이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사진을 제대로 감상하려면 그 사진이 가둔 시간을 생각해 보는 등 미술과 음악, 건축, 사진, 디자인의 다섯 가지 분야에서 심미안을 키우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누구든 글쓰기 / 고도원 / 해냄출판사]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다며 글쓰기를 통해 자신과 마주하고 삶을 되돌아보라는 <누구든 글쓰기>입니다.

글쓰기를 통해 휴식과 치유를 제공하고 있는 저자는 글과 삶은 하나로 엮여 있어서 그 삶이 곧 글이 된다고 말합니다.

또 시간이 날 때만 글을 쓰는 게 아니라며 '습관처럼' 매일 글을 써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영상취재 : 신동환, 영상편집 : 정용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