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천변 도로 한 달째 '위험천만'…비·예산 핑계에 복구 '뒷전'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 복구 미뤄진 광주천 수해 피해 현장

"광주천변에서 밤에 자전거를 타다가 끊긴 자전거 도로에 넘어져 다칠 뻔했어요. 복구는커녕 안전조치도 제대로 안 돼 있고 이게 뭡니까?"

광주시민 A(46) 씨는 지난달 말 광주천변 자전거 도로에서 한낮 따가운 햇살을 피해 야간 라이딩을 즐기다 큰 사고를 당할 뻔했습니다.

지난 7월 17~18일 광주에 433.4㎜의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면서 천변 자전거 도로 10m가량이 불어난 하천 급류에 휩쓸려 유실됐습니다.

이 사실을 모르고 내리막길에서 열심히 페달을 밟던 A 씨는 갑자기 포장도로가 끊겨 나타난 자갈·바위 밭에 자전거를 통제하지 못하고 하천 쪽으로 넘어졌습니다.

A 씨는 크게 다치지는 않았지만, 복구는커녕 안전조치도 제대로 하지 않은 지자체를 원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광고 영역

문제는 수해가 발생한 지 거의 한 달이 다 됐음에도 광주천 곳곳의 수해 피해 복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오늘(12일) 찾은 광주천변 자전거 도로는 아직도 복구가 이뤄지지 않고 있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엿가락처럼 휜 천변 계단 난간, 쓰러진 표지판, 폭우에 떠밀려온 수초 등이 그대로 방치된 상태였습니다.

지난달 중순 폭우 이후에도 몇 차례 많은 양의 비가 반복적으로 내려 복구가 미뤄졌다고 이해하더라도, 위험한 파손 시설물과 도로에 안전조치조차 제대로 하지 않아 시민들이 위험에 노출된 형편입니다.

광주천변에서 밤마다 조깅하는 박 모(70)씨는 "천변 곳곳이 위험한 곳이 널려 있는, 속칭 '지뢰밭'과 같아 운동하려고 머리에 두르는 플래시를 구매했다"고 한탄했습니다.

복구가 미뤄진 것은 계속 내리는 비 때문이기도 하지만, 거액이 드는 복구의 경우 예산 확보가 지연됐기 때문으로 드러났습니다.

한 일선 구청 관계자는 "반복적으로 비가 내려 응급 복구만 진행 중"이라며 "비가 계속 오는데 섣불리 복구에 나섰다가 또다시 훼손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복구 지연 이유를 밝혔습니다.

이어 "2주 전 국가하천 관리 주체인 환경부와 현장 실사를 마치고 복구 예산 지원을 요청했으나, 예산이 내려오려면 시일이 걸려 오는 9월에야 복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일선 자치구와 함께 광주천 관리를 총괄하는 광주시는 "완전 복구에는 시일이 걸리더라도 안전조치는 즉각 하는 게 맞다"며 "각 하천변을 관리하는 구청 측에 연락해 시설물 점검과 안전조치를 하도록 독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독자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