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0% 성장' 동남아 영화 시장…돌파구 될까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몇 년째 침체기를 겪고 있는 한국 영화 시장과 달리, 최근 동남아시아 영화 시장은 최근 빠른 속도로 몸집을 불리고 있습니다.

그 속에서 한국 영화들이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고 하는데, 조제행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베트남 호찌민 시의 한 극장.

한국인 모홍진 감독이 연출한 한-베트남 합작 영화 '엄마를 버리러 갑니다' 첫 공개 행사가 열렸습니다.

이 영화는 베트남에서 하반기 최대 기대작으로, 간담회장에 빈자리가 없을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보 민 호앙 아잉/관람객 : 영화를 보고 행복감이 넘칩니다. 영화를 보고 긍정적인 에너지도 받았습니다. 집에 가서 바로 엄마에게 전화해서 사랑한다고 전하고 싶습니다.]

'엄마를 버리러 갑니다'는 치매에 걸린 엄마를 데리고 한국에 있는 아버지가 다른 형을 찾아가는 베트남인 동생의 이야기를 그렸습니다.

진한 가족애로 눈물샘을 자극합니다.

광고 영역

베트남 유명 배우들과 현지에서 인기가 높은 정일우 배우가 출연했습니다.

[홍 다오/베트남 배우 : K-드라마 25년 동안 오랜 팬으로 K-드라마를 보면서 배우로서 많은 걸 배웠습니다.]

[정일우/배우 : 베트남 분들이 영화에 대한 열정과 사랑이 엄청나다라는 걸 저도 이번에 촬영하면서 느끼게 됐고요.]

최근 개봉한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도 싱가포르에서 홍보 행사를 열었습니다.

[이민호/배우 : 싱가포르 여전히 아름답고 여러분들도 이렇게 뵈니까 그대로인 것 같아서 너무 행복합니다.]

이처럼 한국 영화들이 동남아 영화 시장에 공을 들이는 건 높은 성장성 때문입니다.

베트남에서는 팬데믹 이후 영화 시장이 매년 10%씩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영화 '파묘'가 관객 300만 명으로 베트남 개봉 한국 영화의 신기록을 세웠고, '육사오'와 '기생충'도 성과를 냈습니다.

[고재수/CGV베트남 법인장 : 한국 영화 편수나 전체 박스오피스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동남아시아는 젊은 층 인구 비중이 크고 극장 영화에 대한 선호가 높아 미래 전망도 밝습니다.

[최윤호/제작 PD : (베트남 영화인들이) 한국 감독님들이나 혹은 한국 배우나 이렇게 같이 해보고 싶은 의욕들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동남아 시장이 한국 영화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지 주목됩니다.

(영상취재 : 최대환 (공동취재), 영상편집 : 김호진, 디자인 : 강경림, 화면제공 : 싸이더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