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사이 50대 그룹 내 1조 원 지분 변동…상속·증여 활발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최근 1년 사이 총수가 있는 자산 상위 50대 그룹 중 36곳이 지분 변동을 겪었으며, 이 과정에서 약 1조 원에 달하는 보유 지분이 자녀 등에게 이전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3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총수가 있는 상위 50개 그룹을 대상으로 오너 일가의 보유 주식 변동 내역을 분석한 결과, 작년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총 9천783억 원 규모의 상속·증여가 이뤄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가장 큰 규모의 증여는 한화그룹에서 발생했습니다.

김승연 회장은 지난 4월 ㈜한화 보통주 848만 8천970주(4천87억 원 규모)를 세 아들에게 증여했습니다.

이에 따라 세 형제의 ㈜한화 지배력은 18.8%에서 42.8%로 24.0%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이명희 신세계그룹 총괄회장도 지난 5월 본인이 보유한 ㈜신세계 지분 전량(1천751억 원 규모)을 딸 정유경 신세계 회장에게 증여해 경영권 승계를 마무리했습니다.

이로써 정 회장의 ㈜신세계 지분율은 29.2%로 높아졌습니다.

효성그룹은 고(故) 조석래 명예회장의 잔여 재산 상속이 마무리되면서 가족 간 지분 정리가 이뤄졌습니다.

부인 송광자 여사는 공덕개발㈜ 주식 490억 원어치를 상속받았으며, 차남 조현문 전 부사장도 계열사 주식을 다수 상속받았습니다.

LG그룹 계열인 LX그룹의 구본준 회장은 지난 3월 ㈜LG 주식 157만 3천주(1천57억 원 규모)를 장남 구형모 LX MDI 사장에게 증여했습니다.

광고 영역

구 회장은 ㈜LG 주가 하락을 고려한 듯 두 차례 증여를 취소하기도 했습니다.

형제간 교차 증여도 있었습니다.

정몽진 KCC 회장은 동생 정몽익 KCC글라스 회장의 아내와 자녀에게 주식을, 정몽익 회장은 정몽진 회장의 자녀에게 주식을 증여하며 지배구조를 재편했습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최근 1년 사이 수익 매수·매도 순위

한편, 최근 1년간 주식을 가장 많이 매수한 인물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었습니다.

정 회장은 어머니 이명희 총괄회장이 보유하던 ㈜이마트 지분 전량(2천251억 원 규모)을 사재를 투입해 매수했습니다.

넥슨 총수인 유정현 NXC 의장의 두 딸 김정민·김정윤 자매는 각각 1천650억 원을 들여 유한책임회사 '와이즈키즈'의 유상증자에 참여했습니다.

효성그룹에서는 조현준 회장과 조현상 부회장이 서로의 보유 지분을 매수하는 방식으로 주식을 거래하며 소유구조를 정비했습니다.

(사진=CEO스코어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