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J-20 전투기, 대한해협 동수로 통과…한일에 보고 안된듯"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CCTV군사채널 웨이보 계정에 올라온 중국공군 전투기의 대한해협 동수로(일본명 쓰시마해협) 통과 관련 언급.

중국의 5세대 스텔스 전투기 젠-20이 대한해협 동수로를 통과했으나 한국군과 일본군 모두에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오늘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습니다.

SCMP는 중국 관영 CCTV가 그제 방영한 한 시리즈에서 중국 공군 전투기의 대한해협 동수로 통과 내용을 방영했다고 전했습니다.

SCMP에 따르면 CCTV는 이 방송에서 엘리트 공군 부대인 제1항공여단이 "오늘날 그들은 앞장서서 신형 전투기로 갈아타고 바시해협, 쓰시마해협을 건너 대만을 순찰한다"고 언급했습니다.

J-20의 대한해협 동수로 통과 내용이 담긴 CCTV 방송은 CCTV군사채널이 인민해방군 창설을 기념하는 건군절(8월1일)을 앞두고 제작한 특집 프로그램으로, 중국군에서 처음 창설된 부대들을 소개하는 내용입니다.

CCTV군사채널은 프로그램 소개 글과 영상을 웨이보 계정에 올렸고 인민일보도 이를 공유했는데 이 가운데 제1항공여단 부분에서 대한해협 동수로가 언급됐습니다.

CCTV는 대한해협 동수로 비행이 언제 이뤄졌는지, 임무를 수행한 전투기 기종이 무엇인지 등은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J-20 모습이 영상 전반에 걸쳐 나왔고 제1항공여단이 가장 먼저 J-20이 배치된 부대 중 하나라는 점에서 이 임무를 이 전투기가 수행한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SCMP는 짚었습니다.

광고 영역

SCMP는 대한해협 동수로가 한국과 일본의 방공식별구역(ADIZ) 내에 있으며, 미군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를 비롯해 미국·한국·일본 레이더 시스템 감시망이 밀집된 수로이지만 J-20의 통과는 한국과 일본 모두에 보고된 바가 없다고 전했습니다.

이 매체는 "바시해협과 쓰시마해협은 대만과의 분쟁에서 잠재적인 외국의 개입을 차단하려는 중국군의 노력과 관련해 전략적으로 중요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 군사블로거들은 CCTV 군사채널 웨이보 계정에 올라온 해당 프로그램 영상을 캡처해 올리며 J-20이 대한해협 동수로를 비행한 사실이 CCTV를 통해 공개됐다고 전했습니다.

군사블로거 단란샤오쓰는 "이론적으로 한국과 일본의 레이더 시스템은 해협의 전 범위를 커버할 수 있어야 하지만 이번 J-20 통과는 발견하지 못했다"며 "이는 J-20의 스텔스 성능이 이미 한미일의 첨단 레이더 탐지를 완전히 피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주장했습니다.

중국 군용기는 2016년과 2017년에 대한해협 동수로 상공에 진입한 적이 있습니다.

2017년 1월에는 중국 공군의 H-6K 폭격기와 구형 J-11 전투기 등이 대한해협 동수로 상공을 지나 동중국해에서 동해로 향한 것을 긴급 발진한 자위대 전투기가 확인했습니다.

중국군 함정도 2021년과 2022년 대한해협 동수로를 통과해 동해에 진입한 적이 있습니다.

지난해 11월에는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들이 합동순찰을 하며 동해와 남해의 한국방공식별구역에 진입했다가 이탈했습니다.

(사진=출처:봉황망 군사, 중국 군사블로거,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