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AI 칩 최근 3개월간 중국에 10억 달러어치 밀반입"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수출을 규제한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이 최근 3개월간 최소 10억 달러어치 상당 중국에 밀반입됐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4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5월부터 중국의 여러 유통업체가 판매 금지된 엔비디아의 B200 칩을 중국 AI 기업들이 사용하는 데이터센터 공급업체에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엔비디아가 중국에 판매가 허용됐던 저사양의 H20 칩에 대해서도 트럼프 행정부가 수출을 규제한 직후입니다.

B200 칩은 블랙웰을 기반으로 한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으로, 이전 호퍼 기반의 H20 칩보다 성능이 우수합니다.

복수의 소식통은 B200 칩이 중국 내 판매가 금지됐음에도 "미국산 칩에 대한 수요가 활발한 중국의 암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광둥성과 저장성, 안후이성의 유통업체들은 B200뿐만 아니라 H100, H200 등 판매가 제한된 다른 칩도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렇게 밀반입된 엔비디아의 칩은 최근 3개월간 10억 달러를 웃돕니다.

전문가들은 동남아시아가 중국 기업들이 칩을 확보하는 시장이 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미 상무부는 오는 9월부터 태국 등 국가들을 대상으로 고급 AI 제품에 대한 추가 수출 규제를 논의 중이라고 FT는 보도했습니다.

판매가 제한된 제품들이 중국에 판매되고 있다는 사실에 엔비디아가 관여했거나 이를 알고 있다는 증거는 없다고 이 매체는 전했습니다.

광고 영역

엔비디아는 이에 대해 "밀반입된 칩으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나 재정적으로 비효율적"이라며 "우리는 공식 인증된 제품에 대해서만 서비스와 지원을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에선 이처럼 불법 밀수된 엔비디아의 첨단 AI 칩에 대한 수리·유지보수 사업이 성업 중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25일 보도했습니다.

로이터는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선진에 있는 업체 2곳을 인용해 이 일대에서 10여 개의 소규모 회사가 엔비디아의 H100 GPU, A100 GPU, 이외 다른 칩에 대한 수리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 매체는 "지난해 말부터 수리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한 것은 상당량의 엔비디아 칩이 중국으로 밀수됐다는 관측을 뒷받침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중국에 들어온 일부 H100 GPU와 A100 GPU는 수년간 24시간 내내 데이터를 처리해온 결과 고장률이 높아졌습니다.

사용 빈도나 유지보수 주기에 따라 엔비디아 GPU는 통상 2∼5년 후 수리가 필요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