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미 고위급 '2+2 통상 협의'는 어제(24일) 우리 경제부총리가 미국행 비행기를 타기 직전 취소됐습니다. 베선트 재무장관에게 급한 일정이 생겼다며 우리 협상단 출국 직전에 미안하다는 이메일을 보내온 건데, 상호관세 협상 시한인 다음 달 1일 전에 타결이 될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박찬범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현지시간 25일로 잡혔던 2+2 통상 협의에서는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베선트 재무장관과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를 만날 예정이었습니다.
25%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일주일 앞둔 시점에서 이뤄지는 양국 경제 통상 수장간 협의였습니다.
미국의 취소 통보는 아침 9시쯤 구 부총리가 출국을 위해 인천공항에 대기 중일 때 이메일로 이뤄졌습니다.
미국 측 실무 직원이 우리 기획재정부로 이메일을 보내 베선트 재무장관에게 긴급한 일정이 생겼다며 날짜를 다시 잡자고 한 겁니다.
[강영규/기획재정부 대변인 : 부총리도 출국은 안 하시니까 일단 철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 측에서) 긴급한 일정 때문에 안된다, 어렵다.]
갑작스런 통보에 '긴급한 일정'에 대한 구체적 설명도 없어 외교적 결례 아니냐는 지적이 일었습니다.
정부는 미국 측이 이메일에서 여러 차례 '미안하다'고 언급했고, 조속한 시일 내 다시 개최하자고 제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문제는 시간입니다.
막바지 협상이 미뤄지면서, 다음 달 1일 전 협상 타결은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당장 오는 28일과 29일 베선트 장관은 중국과의 관세 협상을 위해 스웨덴을 방문할 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으로 1주일 협상에 진척이 없을 경우, 우리 기업들은 25% 상호관세는 물론 협상을 타결한 일본과의 관세 격차에도 노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영상편집 : 채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