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유럽 3개국과 핵협상 재개에 합의"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아야톨라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

이란이 독일·프랑스·영국 등 유럽 3개국(E3)과 핵협상 재개에 합의했다고 이란 반관영 타스님 통신이 20일(현지 시간) 보도했습니다.

이는 올해 4월 시작된 미국과 이란의 핵협상이 지난달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과 뒤이은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으로 중단된 지 약 한 달 만입니다.

한 소식통은 "협상 원칙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뤄졌지만 시간 및 장소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이 "내주 어느 나라에서 협상할지는 확정되지 않았다"고 언급한 점을 고려하면 협상 테이블이 이르면 다음 주 중으로 재가동될 전망입니다.

이와 관련해 타스님은 이란과 E3가 외무차관급 회담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란의 이같은 움직임은 지난 17일 핵협상에 진전이 없을 경우 '스냅백' 조치에 돌입하겠다는 E3와 유럽연합(EU)의 경고를 프랑스 외무부가 이란에 전달한 지 사흘 만에 나온 것입니다.

스냅백은 2015년 이란이 서방과 체결한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에서 이란이 약속한 핵프로그램을 동결·제한하지 않으면 유엔 제재를 복원하기로 한 단서 조항입니다.

광고 영역

이 스냅백은 유안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전원이 동의하지 않아도 가동할 수 있습니다.

이란에 우호적인 러시아와 중국의 거부권을 무력화하도록 설계됐습니다.

E3는 2015년 핵합의 서명에 참여한 당사국입니다.

이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지난 4월부터 양국 간 핵협상을 시작해 5차 회담까지 진행했지만 우라늄 농축 중단 여부가 쟁점으로 떠오르며 논의가 교착됐습니다.

6차 회담을 이틀 앞둔 지난달 13일 이스라엘군이 이란 나탄즈 핵시설 등을 전격 공습하면서 협상이 중단됐고, 아흐레 뒤인 22일 미국이 가담해 포르도·나탄즈·이스파한 등 핵시설을 벙커버스터 등으로 폭격했습니다.

이란은 지난달 24일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로 이스라엘과 휴전한 뒤로 우라늄 농축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며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대한 협력을 잠정 중단했지만, 핵협상 재개에는 여지를 둬 왔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