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총리 "미국과 무관세 무역 합의 할 가능성 작아"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15일(현지시간) 캐나다가 미국과 무관세 무역합의를 맺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작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카니 총리는 이날 내각 회의에 참석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현재로서는 어떤 국가도 관세 없는 무역합의를 맺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캐나다가 관세를 피하면서 미국과 무역합의를 맺을 가능성과 관련해 "지금은 (그런) 증거들이 많지 않다"고 했습니다.

카니 총리는 캐나다 국민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 인해 전 세계의 상업 환경이 바뀌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면서 "우리는 우리가 가장 통제할 수 있는 것, 강력한 캐나가 경제를 건설하는 것에 집중할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카니 총리의 이날 발언들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던 그간의 입장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카니 대표는 지난 3월 취임 후 진행된 첫 연설에서 "우리의 경제를 약화하려 시도하는 누군가가 있다"며 "우리는 그가 성공하도록 놔두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계속되는 대미 협상에서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했고, 지난달 27일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의 '디지털서비스세'(DST)를 트집 잡아 무역 협상을 중단하겠다고 하자 이틀 만에 DST를 폐지했습니다.

광고 영역

또 카니 총리는 이달 21일까지 미국과 관세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나 지난 10일 캐나다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35%로 올리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를 접하게 됐습니다.

지난 4월 발표됐다 유예된 상호관세율은 25%였습니다.

카니 총리의 이날 발언에 대해 야당인 보수당 피에르 포일리에브르 대표는 "미국 대통령에게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인사의 또 다른 일방적인 양보"라고 비꼬았습니다.

정치 신인이었던 카니 총리는 선거 운동 기간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BOE) 총재 역임 이력을 강조하며 '경제통' 이미지를 내세워 지난 3월 총리직에 올랐으며 4월 총선서 자유당의 승리도 이끌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