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10층에서 시뻘건 불길이 뿜어져 나옵니다.
잔해물과 파편이 떨어지면서 주차된 차량은 앞유리가 깨졌고, 건물 안에 있던 400여 명은 긴급 대피했습니다.
사흘 전 발생한 이 불은 폭염에 과열된 에어컨 실외기에서 시작됐습니다.
최근 5년간 에어컨 실외기 화재가 매년 늘고 있는데, 30도를 넘나드는 6~8월 사이 여름철에 몰려 있습니다.
전선이 노후화되거나, 먼지와 습기 등 이물질이 쌓이면서 생기는 '전기적 요인'이 80%를 차지했고, 담배꽁초 등 외부 가연성 물질에서 불이 번지기도 했습니다.
실외기 관리 상황은 어떤지, 취재진이 직접 확인해 봤습니다.
서울 시내의 한 골목.
먼지가 잔뜩 쌓인 채 방치된 실외기 주변으로 낡은 전선들이 이리저리 엉켜 있습니다.
[유희주/서울소방재난본부 예방과 : 이런 거 다 관리를 원래는 해줘야 하거든요. 단자 부위에 이렇게 먼지가 쌓여 있거나 하면 화재가 유발되는 거죠. 스파크가 발생한다거나…]
LPG 가스통이나 담배꽁초 등이 근처에서 발견됐고, 불에 타기 쉬운 스티로폼이나 종이상자가 실외기 위에 올려져 있기도 했습니다.
특히 실외기가 한꺼번에 여러 대 모여 있는 곳은 열기가 모여 더욱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늘진 곳으로 들어오면 아스팔트 표면 온도는 보시는 것처럼 30도대로 떨어지는데, 실외기가 이렇게 모여 있다 보니, 에어컨을 틀면 햇빛을 직접 받지 않는데도 60도를 훌쩍 넘는 뜨거운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실외기가 여러 대 모여 있을 때는 열 축적 현상이 발생합니다. 정상 온도 범위는 20~45℃ 정도고요. 55℃가 넘어가면 위험 단계다, 이렇게 볼 수가…]
문제는 이 같은 화재 위험 우려에도 관계 당국의 규제를 받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현행법상 에어컨 실외기의 설치기준만 있을 뿐, 화재 위험성과 관련된 별도 기준이나 규정이 없다 보니 화재 안전 관리 의무도, 현장 단속 권한도 존재하지 않는 겁니다.
이 때문에 권고 수준인 실외기 화재 예방 수칙을 실효성 있게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