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휴양지에선 '래시가드=한국인'…왜?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30대 직장인 이 모 씨는 지난 1월 휴가 때 찾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흥미로운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해변에서 한국어가 들려서 돌아볼 때마다 모두 래시가드를 입고 있던 것입니다.

이 씨는 "래시가드를 한국인 구별법으로 삼아도 될 정도"라며 "서양인들도 신기한 듯 쳐다보더라"라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레딧(Reddit)이나 쿼라(Quora) 등 해외 SNS에도 "왜 한국 사람들은 옷을 입고 수영하느냐"는 질문 글이 꾸준히 올라오고 있습니다.

서구권에서 래시가드는 서퍼 등 해양스포츠 애호가들의 옷으로 여겨진다고 합니다.

국내에서 래시가드는 여전히 인기가 많습니다.

13일 쇼핑 플랫폼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카카오스타일에 따르면 6월 27일부터 7월 10일까지 2주간 '래시가드'의 검색량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40%, 매출은 35% 증가했습니다.

여성용 비키니 매출이 같은 기간 5% 증가한 것과 대비됩니다.

네이버 '비치웨어' 분야 검색 순위에서도 래시가드가 1위부터 10위까지 채웠습니다.

한국인의 래시가드 사랑은 일단 자외선 차단 등 기능성이 배경으로 꼽힙니다.

광고 영역

태닝을 즐기는 서구와 달리 흰 피부를 선호하는 한국인의 특징에 들어맞는다는 것입니다.

티셔츠처럼 실내외에서 입을 수 있는 점도 강점입니다.

직장인 윤 모(27) 씨는 "누구나 부담 없이 예쁘게 입을 수 있는 '무난템'(무난한 아이템)이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타인의 시선을 많이 신경 쓰는 한국인의 집단 심리가 반영됐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노출이 있는 수영복을 입었을 때 남들의 시선을 받으면 심리적으로 편하지 않기 때문"(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명예교수)이란 것입니다.

쇼핑몰 구매 후기에도 "몸을 잘 가려준다"는 반응이 적지 않습니다.

반대로 남의 이목을 덜 신경 쓰는 세태를 방증한다는 해석도 나옵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과거엔 비키니를 입기 위해 몸을 아름답게 가꾸는 데 집중하지 않았느냐"며 "(래시가드의 대중화는) 자유로움과 편함을 추구하는 능동적인 생각·습관이 자리 잡은 결과"라고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