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문자보다 발빠르게…텍사스 홍수에 2천 명 살린 동네 사이렌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미국 텍사스주 컴포트 소방서에 설치된 마을 사이렌

미국 텍사스주를 덮친 대홍수 참사가 시작된 지난 4일(현지시간) 새벽, 과달루페 강 하류의 작은 마을 컴포트에서는 소방서 지붕 위로 우뚝 솟은 스피커에서 사이렌이 울려 퍼졌습니다.

마을 전체에 단조로운 톤으로 길게 울린 경보음은 휴대전화 재난 알림을 놓친 주민들에게 대피를 권고하는 마지막 생명줄이었습니다.

당시 옆마을 커 카운티를 포함해 하늘이 뚫린 듯 폭우가 쏟아지면서 강물이 범람해 대규모 홍수가 발생했습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희생자만 120명입니다.

그러나 불행 중 다행으로 이날 커 카운티와 이웃한 켄달 카운티 내 마을 컴포트에서는 주민 2천200여 명 전원이 마을 사이렌 덕분에 안전하게 홍수로부터 대피했다고 10일(현지시간) AP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컴포트 소방서의 다니엘 모랄레스 부국장은 "4일 아침, 사이렌이 마을 주민들의 생명을 구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커 카운티에는 컴포트 지역 같은 경보 시스템이 없었습니다.

광고 영역

앞서 컴포트에서도 1978년 홍수로 33명이 목숨을 잃는 등 자연재해로 여러 차례 아픔을 겪었습니다.

그래서 지난해 지역사회 비상경보 시스템을 확충할 기회가 오자 주민들은 한마음으로 기금 마련에 힘썼습니다.

지자체 보조금과 소방서 예산을 총동원하고 지역 전력회사 등으로부터도 자금을 조달해 소방서 사이렌을 업그레이드했습니다.

사이렌을 미국 지질조사국(USGS) 센서에 연결해 수위가 특정 지점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울리고 수동으로도 작동할 수 있게 했습니다.

주민 교육도 성공의 열쇠였습니다.

업그레이드된 사이렌 설치 후 소방서는 지역 주민들이 매일 정오에 울리는 시험 경보에 익숙해지도록 몇 달간 노력했습니다.

또 다른 시간대에 사이렌이 울리면 지역 방송, 소방서 페이스북 페이지 등에서 긴급 알림을 확인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지난 4일 새벽, 폭우가 어린이 캠핑장을 비롯해 커 카운티 일대를 덮친 후 몇 시간 뒤 컴포트에서도 강이 범람해 수위가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경보 시스템이 작동한 덕분에 마을 사이렌이 울렸을 무렵에는 이미 많은 컴포트 주민이 잠에서 깨어 있었고 강물이 불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했습니다.

당시 휴대전화 알림을 확인하지 못하거나 거리로 나온 소방관들의 대피 명령을 듣지 못한 주민들도 사이렌을 듣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었습니다.

소방서의 모랄레스 부국장은 사이렌 작동이 홍수 피해가 컸던 커 카운티의 상황을 바꿨을지는 확신하지 못한다면서도, 컴포트 주민들에게는 분명히 한 단계 빠른 경보를 제공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뭐든지 방법을 찾아 실현할 것"이라며 "최근 일어나는 일을 보면 이제 시스템을 더욱 강화할 때"라고 말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