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과열에 금리 동결…"해피엔딩 금방 올지 모르겠다"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했습니다. 수도권 집값이 뛰고 가계 빚이 빠르게 늘고 있는 게 그 배경입니다.

박재현 기자입니다.

<기자>

7월 첫 주 서울 아파트값은 0.29% 올라 2주 연속 상승률이 둔화했습니다.

지난달 28일부터 시행된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가 어느 정도 효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강남, 송파, 강동 등 강남권 상승률이 전 주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는데, 마포, 성동 등 일부 한강벨트 지역은 둔화하긴 했지만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서울 마포구 부동산 대표 : 한 석 달 정도 있어야 가격 변동이 나와요. 가격 다운 하겠어요? 좀 기다리죠. 좀 추이를 봤다가 다운시키죠. 내가 집주인이어도.]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이유도 수도권 집값 상승과 가계 대출 증가입니다.

최근 집값 상승세는 지난해 7, 8월보다 가파르고, 지난달 은행 가계 대출은 6조 2천억 원 늘며 증가 폭이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커졌기 때문입니다.

광고 영역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정부의 과감한 대출 규제가 올바른 방향이라며 높게 평가하면서도, 집값과 가계 대출이 금세 안정돼 기준금리를 내릴 여건이 될지에 대해서는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정도로 따지면 지금이 더 얼러트(경계감)가 심합니다. 지금은 속도가, 그렇게 '해피엔딩'이 금방 올지 그걸 잘 몰라서….]

서울 집값 상승세가 더 번지면 젊은 층의 절망감 등 사회적으로 큰 피해가 예상된다며, 기준금리 인하 시점과 인하 폭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관세는 관세대로 굉장히 크게 올라가고 부동산 가격은 안 잡히면 금융 안정과 성장의 상충 관계가 굉장히 나빠질 수 있습니다.]

다만,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3개월 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놔야 한다는 의견이었다고 소개했는데, 시장에서는 다음 달 인하 가능성에 조금 더 무게를 두는 모습입니다.

(영상취재 : 하륭, 영상편집 : 김윤성, 디자인 : 강경림·장예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