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브스프리미엄

"여자가 먼저 유혹했어!" 그 남자가 죽어서 유령이 된 이유 [스프]

[취향저격] 영화 <발코니의 여자들> (글 : 이화정 영화심리상담사)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매일 쏟아지는 콘텐츠 홍수와 나도 헷갈리는 내 취향, 뭘 골라야 할지 고민인 당신에게 권해드리는 '취향저격'.

작년 부산영화제에서 첫선을 보였던 영화 <발코니의 여자들>은 영화의 분위기에 맞는 무더운 여름에 맞춰서 7월 9일에 개봉이 결정됐다. 노에미 메를랑 감독이 연출하고 직접 주인공인 엘리즈 역을 맡았다. 셀린 시아마 감독의 영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에서 진지한 표정으로 여성 화가를 연기했던 노에미 메를랑은 <발코니의 여자들>에서는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프랑스의 주요 도시들이 40도가 넘는 폭염으로 끓고 있고, 노약자는 외출을 자제하라는 경고가 TV에서 흘러나오면서 시작되는데, 보기 편한 영화라고 말할 수는 없다. 폭염 피해 경고는 시작에 불과하다. 히치콕으로 시작해 알모도바르를 스쳐가며 호러와 판타지 장르를 뒤섞고, 신체의 노출과 훼손을 과감하게 보여준다. 공동주택에 사는 각 세대의 모습을 훑고 지나가는 카메라는 히치콕 감독의 <이창>을 연상시킨다.

<발코니의 여자들>에서는 폭염 때문에 외출을 못하고 이웃을 훔쳐보며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작가인 니콜(산다 코드레아누), 삼류 여배우인 엘리즈(노에미 메를랑), 캠걸인 루비(스헤일라 야쿠브)는 직업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한 상태이고, 이성과 관련해서 각자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다가 갑자기 발생한 살해사건 때문에 상황이 꼬이면서 여성이라는 범주 안에서 한마음이 된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발코니의 여자들

<발코니의 여자들>은 여성들이 겪어야 하는 부당한 현실을 코믹하면서도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 그런데 그 방식은 육체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 데미 무어가 주연을 맡았던 영화 <서브스턴스>를 연상시킨다. <서브스턴스>에서 남성 중심의 사회를 버티어내야 하는 여성의 욕동은 육체적인 아름다움에 있다. 그리고 아름다움이라는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단어는 영화에서 젊은 여성의 탄력 있는 육체로 규정된다. 그러나 <발코니의 여자들>은 그렇게 규정된 육체성에 반기를 들고 육체에 성적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려 한다. 그뿐 아니라 남성의 육체에 대한 환상까지 무너뜨린다. 영화는 여성을 성적 도구로 생각하게 만드는 육체와 관능의 관계를 깨뜨리기 위해 여러 가지 장치를 끌어들인다.

엘리즈는 마릴린 몬로를 흉내 낸 금발머리와 붉은색 원피스를 입고 불안하게 등장하지만 그녀의 행동과 말투는 관능의 아이콘과는 전혀 다르다. 방귀를 뀌는가 하면, 가슴과 성기를 에로틱하지 않게 드러낸다. 산부인과 의사가 생식기를 검사할 때의 시선처럼 바라보라고 말하는 듯하다.

작가인 니콜은 맞은편에서 묘한 눈빛으로 남성적인 매력을 과시하는 마냐니(루카스 브라보)를 보고 흥분하면서 멋진 로맨스 소설을 쓸 수 있을 거라 기대하지만 그녀의 환상 역시 산산조각 난다. 감독은 마냐니의 잘린 성기를 니콜이 필요 이상으로 오랫동안 손에 들고 있게 만든다. 남성의 잘린 성기를 바라보는 니콜은 놀라거나 혐오하지 않는다. 그녀의 표정에는 어떤 감정도 실려 있지 않다.

자신의 뜻과 상관없이 성적인 대상으로 낙인찍힌 여성은 캠걸인 루비다. 성적인 매력을 무기로 돈을 버는 직업이지만, 루비는 자신을 절대로 수동적인 위치에 놓지 않는다. 그래서 자신을 함부로 대하는 남성에게 당하는 일을 용납하지 않는다. 여성의 성기는 남성이 함부로 다뤄서는 안 될 신성한 영역이라는 말을 강조할 때, 루비의 표정은 평상시에 보여줬던 냉소와 장난기가 사라지고 가장 진지하다.

<발코니의 여자들>은 자신의 몸이지만 자신의 뜻과 상관없이 조롱거리가 되거나 학대당하는 여성들의 모습을 다양하게 보여준다. 여성들이라면 한 번쯤 겪어봤을 일화들을 모아놓았기 때문에 쉽게 공감할 여지가 있지만 영화는 여성과 남성의 영역을 분명하게 갈라놓는다. 여성을 이용하거나 학대하다가 여성의 손에 죽은 남성들은 유령이 된다. 그들은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남성들은 자신이 여성들에게 행했던 행동이 왜 잘못됐는지 깨닫지 못하고 억울해한다. 남성이 자신의 정당성으로 내세우는, 여자가 먼저 유혹을 했다는 주장은 너무나 낯익다. 여성이 가슴을 드러냈다고 해서 남성에게 성적 허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듯이 엔딩 시퀀스에서는 여성들이 자유롭게 가슴을 드러내고 거리를 활보한다. 그 안에는 젊은 여성도 나이 든 여성도 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