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진 시간 3주…'비관세 장벽' 협상이 관건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정부는 미국이 정한 관세에 대해 지난 4월 발표했던 것보다 오르지 않았고 이달 말까지 협상 시간이 생겼다는 점에서 최악은 면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3주라는 촉박한 시한 내에 한국과 미국 모두 납득할 수 있는 타협점을 찾아야 합니다.

엄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새벽에 날아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서한에 대통령실과 정부의 시계가 빨라졌습니다.

약 3주간의 추가 협상 시간이 확보됐다는 점은 다행으로 평가했습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 : 아쉬운 부분이 있긴 합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 정부 출범 이후 시간이 굉장히 촉박했던 것에 미루어 관세가 인상이 되는 최악의 상황을 면한 것으로 보고….]

대통령실은 김용범 정책실장 주재로 통상 관계 부처 대책 회의를 열었습니다.

새 정부 출범 후 호혜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최종 합의에 이르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고 진단하고, 국익을 최우선으로 미국과의 협상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광고 영역

전문가들은 미국의 일관된 요구가 무역수지 불균형 해소라는 점에서, 에너지와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조성대/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장 : 미국 입장에서의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려면 한국이 그만큼 미국산을 많이 사줘야 되는 거고….]

결국 비관세 장벽 협상이 관건이 될 거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30개월 이상 쇠고기 수입과 쌀 수입 확대, 유전자변형생물체 수입 등은 농민들의 반발이 불가피하고, 정밀지도 반출 제한이나 망 사용료, 온라인 플랫폼법 등도 미국의 빅테크들과 우리 산업의 이해가 엇갈린다는 점에서 예민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장상식/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 (트럼프) 본인의 성과 치적이 중요하다 보니까요. 미국 기업들이 한국에서 불만을 가졌던 거를 해소해 주는 것들도 트럼프의 어떤 홍보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국내 이해관계자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제조업 협력을 지렛대로 삼아 품목별 관세와 상호 관세를 최대한 낮춰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3주 안에 풀어야 하는 셈입니다.

(영상취재 : 이병주, 영상편집 : 박춘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