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호관세, 합의 없으면 원래대로"…막판 압박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미국이 상호관세 유예기간 종료를 앞두고, 무역합의를 하지 않은 나라에는 기존 관세율이 적용될 거라며 다시 한번 압박에 나섰습니다. 그러면서, 약 100개 나라에는 최저치인 10% 관세를 매길 거라고 덧붙였습니다.

워싱턴에서 김용태 특파원입니다.

<기자>

오는 8일 상호관세 유예기간 종료를 앞두고 미국 베선트 재무장관이 다시 한번 무역 합의를 압박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CNBC 인터뷰에서 마지막 순간까지 기다리는 나라는 4월 2일 책정한 수치로 돌아갈 수 있다면서 각 나라가 선의로 협상에 임하는지는 트럼프 대통령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선 약 100개국이 최저치인 10% 상호관세를 적용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거의 모든 무역상대국에 기본 관세 10%를 부과했고 한국 등 57개 나라에는 국가별 관세를 추가로 매겼다가 일단 유예한 상태입니다.

한국에 대해 미국이 어떤 조치를 취할지는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총력을 기울여온 대규모 감세법안, 이른바 크고 아름다운 법안은 미국 상·하원을 모두 통과했습니다.

광고 영역

각종 감세조치와 국경 강화 등을 모두 담고 있는 이 법안은 복지 혜택 축소 우려 속에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 왔습니다.

[마이크 존슨/미 하원의장 (공화당) : 이번 투표에서 찬성 218표, 반대 214표로 가결되었습니다.]

이 법안 통과로 트럼프의 국정 운영엔 더 탄력이 붙게 됐습니다.

바이든 정부에서 추진한 전기차 세액공제가 조기 종료되는 등 우리 기업들에도 영향이 불가피합니다.

다만 배터리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에 대한 첨단제조생산 세액공제는 그대로 유지됐습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정성훈)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