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 기승에 온열질환자 하루 100명…사망자 2명 더 늘어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작년보다 한 달가량 이른 시점에 하루 100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어제 하루 100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이 가운데는 온열질환 때문으로 추정되는 사망자 2명도 있었습니다.

이로써 지난달 15일부터 가동한 응급실 감시체계를 통해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총 633명, 이 가운데 사망자는 5명으로 늘었습니다.

온열질환자는 지난달 28일부터 나흘 연속 50명대를 유지하다가 어제 두 배 가까이로 늘었습니다.

지난해에는 8월 1일에야 하루 환자가 100명을 넘었는데, 올해는 무려 한 달이나 이른 시점에 환자가 급증했습니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전날 경기도 일부와 강원 동해안·산지, 남부지방, 제주도 동부는 최고 체감온도가 35도 안팎까지 올랐습니다.

전날 사망자 가운데 80대 여성은 경남 진주에서 실외 작업을 하던 중 숨을 거뒀습니다.

경기도 이천에서는 산에 있던 80대 남성이 온열질환으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올해 온열질환자의 77.4%가 남성이었고, 30.6%가 65세 이상 노인이었습니다.

광고 영역

직업별로 보면 단순 노무 종사자가 20.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하루 중 오후 4∼5시(12.3%)에 가장 많은 환자가 나왔고 이어 오후 3∼4시(11.5%), 오전 10∼11시(11.1%) 등의 순이었습니다.

질환별로는 열탈진(52.8%), 열사병(19.6%), 열경련(15.3%) 등의 순으로 많았습니다.

열탈진은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하는데 피부가 창백해지며 무력감과 피로, 근육경련, 메스꺼움, 구토,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오르지는 않습니다.

환자의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치솟았는데도 땀이 나지 않아 피부가 건조하고 뜨거워졌다면 열사병을 의심해야 합니다.

온열질환은 샤워를 자주 하고,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을 입는 등 생활 속 실천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물을 자주 마시고, 더운 시간대인 정오부터 오후 5시까지는 시원한 곳에 머물러야 합니다.

기상 상황을 수시로 확인해 폭염 시에는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게 좋습니다.

또 당분간 열대야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취침 전에는 과식이나 알코올·카페인 섭취를 삼가고,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해야 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