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7월의 첫날인 오늘도(1일) 정말 더웠습니다. 지도에서 보시는 거처럼 오늘 오후 기준으로, 강원 일부와 경기 북부를 뺀 대한민국 거의 모든 지역에 폭염 특보가 내려졌습니다. 밤에도 더위가 식지를 않아서 강원도 강릉에서는 오늘 오전 최저기온이 30도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초열대야에 근접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때 이른 더위 속에 온열 질환자도 늘고 있습니다. 올해 5월 20일부터 6월 말까지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454명으로 지난해보다 20%가량 많습니다. 그러자 정부는 긴급회의를 열고 한낮에는 바깥 활동을 되도록 자제해달라고 거듭 당부했습니다.
먼저 김진우 기자입니다.
<기자>
이틀째 이어지는 열대야에 잠을 설친 시민들이 청계천에 모였습니다.
더위를 쫓기 위해 두 발을 물에 담가보고, 휴대용 선풍기로 바람도 쐬어 보지만 역부족입니다.
[이주은·이소정/서울 관악구·마포구 : 너무 더워서 청계천에 발도 좀 담그러 왔어요. 숨도 좀 막히고 그런 것 같아요. 선풍기 '강'으로 틀고 영원히 틀어 놔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한강 변에 나왔지만 더위가 쉽게 가시지는 않습니다.
[한성림·도현주/경기 부천시·오산시 : 에어컨을 안 켜면 자기 힘들어요. 갑자기 발 담그고 싶을 정도로 너무 습하고 더워서 (나왔습니다.)]
한낮 땡볕에 온종일 돌아다녀야 하는 '이동 노동자'들은 폭염에 고스란히 노출됩니다.
챙겨온 얼음물은 순식간에 녹아버리고, 음료수도 금세 미지근해집니다.
[신경준/정수기·비데 설치 기사 : (더워서) 앉아 있을 수가 없으니까 문을 열었고요. 시동을 함부로 걸고 있을 수가 없으니까 (에어컨을 못 틀어서) 통풍만 시키는 게 다죠.]
뜨거운 아스팔트를 누비는 배달 노동자들도 더위에 취약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이렇게 햇볕이 강한 여름날 하루 종일 밖에서 배달을 하면 온몸이 뜨겁게 달궈집니다.
열화상 카메라로 살펴보니 헬멧이 특히 뜨거워진 걸 볼 수 있습니다.
[이우형/배달 기사 : 헬멧 안쪽이 후끈후끈해지고 찜질방 들어간 것처럼 뜨거워지는 거죠. 한증막에서 오토바이 타는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습도가 높은 찜통더위가 계속되자 행안부는 야외 노동자나 노인 등 폭염에 취약한 사람들에 대한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최준식·강시우, 영상편집 : 최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