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상호관세 유예 종료 앞두고 '단계적 무역 합의' 모색"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계 유예 시한이 8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백악관이 무역협상 상대국들과 일괄 타결보다는 단계적 합의를 모색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 번에 포괄적인 무역협상을 타결하는 대신 견해차가 크지 않은 사항부터 합의하겠다는 것입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현지시간 1일 다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7월 9일까지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미 당국자들은 가장 적극적인 국가들과 단계적 합의를 맺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당초 트럼프 행정부는 90일간의 유예기간 동안 최소 90건의 무역협상을 타결한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시간부족 등 현실적 한계 때문에 '범위가 좁고 단편적'으로라도 일단 합의한 뒤 추가협상을 하는 쪽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짚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4월 5일부터 모든 무역상대국에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했고,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지난 4월 9일 발효했다가 13시간 만에 90일간 유예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현재까지 미국과 포괄적 무역협상을 타결한 국가는 영국이 유일한상황입니다.

광고 영역

중국과는 총합 145%의 관세폭탄을 투하하며 무역전쟁까지 벌였지만 다시 관세율을 30%로 낮춘 채 휴전에 들어갔습니다.

소식통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 유예기간 만료 전 무역 분쟁이 있는 몇몇 국가들과 '원칙적 합의'를 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에 말했습니다.

또, 미국과의 부분적 합의가 성사되더라도 10%의 기본관세는 주요 쟁점들에 대한 추가 협상이 마무리되기까지 유지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이처럼 목표를 낮춰 잡은 상황에서도 미 정부는 협상 타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핵심 부문에 대한 추가 관세도 여전히 검토 중인 상황이라고 소식통들은 말했습니다.

협상 상황에 밝은 한 인사는 미국이 추후 부문별, 품목별 관세를 추가로 도입할 수 있다는 불확실성이 논의를 어렵게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미 미 상무부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목재, 구리, 핵심광물, 의약품, 반도체, 전자기기 등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유예기간 만료까지 무역협상이 타결되지 않은 국가에는 고율관세를 매기겠다고 위협해 온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어느 수준의 관세율을 들이댈지, 유예기간을 연장할지 여부도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또 미국 연방국제통상법원(USCIT) 등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에 위법 판결을 내리면서 법정 공방이 불가피해진 상황도 협상의 조속한 타결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고 소식통들은 덧붙였습니다.

앞서 베선트 장관은 지난달 27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주요 무역 파트너 18개국 중 일부와의 협상을 미국의 노동절인 9월 1일까지 마무리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가들이 매우 좋은 거래를 들고 우리한테 접근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