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최악 폭염' 오나…기상청 "올여름 평년보다 더울 듯"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기상청이 올여름은 예년보다 더울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을 내놨습니다.

기상청은 오늘(23일) 발표한 6∼8월 3개월 전망에서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을, 비슷하거나 낮을 확률보다 더 높게 제시했습니다.

강수량은 6월엔 평년보다 많고 7∼8월엔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반도에 영향을 줄 태풍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습니다.

초여름에 해당하는 6월의 기온은 평년(21.1∼21.7도)보다 높거나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 낮을 확률이 20%로 나타났습니다.

7월(평년 기온 24.0∼25.2도)과 8월(24.6∼25.6도)은 기온이 평년 기온을 웃돌 확률이 50%로 제시됐습니다.

비슷할 확률은 40%이고 낮을 확률은 10%에 불과했습니다.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와 미국 해양대기청(NOAA) 등 11개국 기상 당국 474개 기후예측모델 전망치를 평균 냈을때도 올여름 기온이 평년 기온보다 높을 확률이 큰 것으로 나왔습니다.

기후예측모델들의 앙상블 평균(여러 모델이 내놓은 전망치의 평균) 확률을 보면 6월은 평년보다 더울 확률이 58%, 7월은 64%, 8월은 71%였습니다.

기상청은 올여름 더울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로 열대 서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상태인 점을 꼽았습니다.

광고 영역

해수면 온도가 높으면 해당 지역에서 대류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열대 서태평양에서 높은 해수면 온도 탓에 대류가 활발해지면서 상승기류가 발생하면 동아시아에 하강 기류가 나타나고, 우리나라 남동쪽에 고기압이 발달합니다.

북반구에선 고기압 가장자리를 타고 시계 방향으로 바람이 붑니다.

이에 우리나라 남동쪽에 고기압이 형성되면 우리나라로 고온다습한 남풍이 불게 되고 이는 무더위로 이어집니다.

'사상 최악의 더위'가 나타났던 작년 여름, 6월 하순부터 7월 중순까지에도 열대 서태평양에서 상승한 기류가 타이완 부근 아열대 지역에 하강하면서 북태평양고기압이 예년보다 더 북서쪽으로 확장해 우리나라에 무더위가 나타났습니다.

월별로 보면 올해 6월이 더울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로 북인도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 수준보다 높은 점이 제시됐습니다.

뜨거운 북인도양에서 대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우리나라 남동쪽에 고기압이 발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7월에는 남인도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을 수 있는 점이 더위를 예상하게 하는 주된 요인입니다.

남인도양이 뜨거우면 북서태평양에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우리나라 주변엔 고기압이 형성됩니다.

8월은 봄철 유럽 눈 덮임이 평년보다 적었던 점이 더위를 예상케 하는 점입니다.

눈 덮임이 적으면 지면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열이 많아 해당 지역에서 고기압이 잘 발달합니다.

유럽 눈덮임 면적이 작아 고기압이 발달하면 대기 파동에 의해 우리나라 쪽에 고기압이 형성되고 이는 더위로 이어집니다.

물론 올여름 기온을 낮출 만한 요인도 존재합니다.

지난 봄 중국 동북부 눈 덮임이 적었던 점은 이 지역에 고기압을 발달시켜 우리나라에 저기압을 부를 수 있습니다.

저기압 영향권에 놓이면 기온이 낮아집니다.

티베트 지역 눈 덮임이 평년보다 많은 점도 고려할 요소입니다.

이는 한여름 '땡볕 더위'를 부르는 티베트고기압 강도를 약화할 수 있습니다.

강수량은 6월은 평년보다 대체로 많고 7∼8월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6월은 강수량이 평년(101.6∼174.0㎜)보다 많을 확률과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 적을 확률이 20%로 나타났습니다.

7월(평년 강수량 245.9∼308.2㎜)과 8월(225.3∼346.7㎜)은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이고 평년보다 많거나 적을 확률이 각각 30%, 20%입니다.

광고 영역

올여름 비가 많이 온다면 북인도양과 열대 서태평양 수온이 높아 우리나라 남동쪽에 고기압이 발달, 고온다습한 남풍이 불어 들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됐습니다.

티베트 눈 덮임이 많아 티베트고기압이 약하게 발달, 우리나라 대기 상층에 기압골이 발달할 수 있는 점도 많은 비를 예상하게 하는 요인입니다.

유럽 눈 덮임과 바렌츠-카라해 해빙 면적이 작아 우리나라 부근에 고기압이 발달할 수 있는 점은 강수량을 줄일 수 있는 요인으로 꼽혔습니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평년(2.5개)과 비슷하거나 적을 확률이 각각 40%, 많을 확률이 20%로 분석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