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재명, 김문수 두 대선후보가 어제(18일) 내놓은 각기 다른 개헌 구상을 놓고 정치권에서 서로 날을 세우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이 이 후보의 연임제 제안에 장기 집권 의도가 숨어 있는 것 아니냐고 하자, 민주당은 김 후보가 선거가 불리하니 얕은 술수를 편 거라고 맞받았습니다.
김기태 기자입니다.
<기자>
이재명, 김문수, 두 대선후보의 개헌안은, 대통령 임기부터 다릅니다.
이재명 민주당 후보는 최대 8년까지 연속으로 대통령을 할 수 있는 '4년 연임제'를,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연속이든 아니든, 총 2번 대통령을 할 수 있는 '4년 중임제'를 제안합니다.
이 후보의 '연임제'에 대해, 국민의힘은 "장기 집권의 의도를 숨기고 있는 것 아니냐"고 의구심을 드러냈습니다.
[나경원/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 : 대리인 허수아비 대통령을 내세워 4년짜리 징검다리를 놓고 다시 돌아오는 푸틴식 재림 시나리오가 있는 건 아닌지 의심됩니다.]
이에 민주당은 "이 후보가 대통령이 돼 개헌이 이뤄진다고 해도 본인에겐 적용되지 않는다"며 '악의적 프레임'이라고 역공하고 나섰습니다.
김 후보는 자신이 대통령이 된다 해도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해 2028년에 총선과 대선을 동시에 치르게 하겠단 입장입니다.
그러자 민주당은 계엄 사태에 사과부터 하라며 '얕은 술수'라고 깎아내렸습니다.
[윤여준/민주당 상임총괄선거대책위원장 : 대국민 사과 없는 개헌 주장은 불리한 선거 국면을 모면해 보려는 얕은 술수에 불과합니다.]
이번에는 국민의힘이 "김 후보는 권한과 임기를 줄이겠다고 선언했지만, 이 후보는 권력을 쥐기 위해 개헌을 말한다"고 맞섰습니다.
추진 시기도 아직 간극이 큽니다.
이 후보는 2026년 지방선거 또는 늦어도 2028년 총선 때 국민의 뜻을 묻자면서 국회 개헌특위부터 구성하잔 입장인 반면, 김 후보는 "국민 앞에 문서로 확정하는 게 필요하다"며 즉각 개헌 협약을 체결하자고 제안합니다.
"지금은 내란 극복이 훨씬 중요하다"고 했던 이 후보가 개헌 추진의 출발선에 올라섰지만, 정치권에선 아직, 신경전만 불붙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전경배, 영상편집 : 오영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