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단독보도

[단독] "더는 못하겠다" 살인으로…독박 간병의 슬픈 최후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간병에 지친 가족이 환자를 숨지게 하는 간병 살인의 실태 오늘(9일)도 전해 드립니다. 저희 취재 결과 이런 사건 대부분은 아픈 가족을 돌보기 시작한 지 1년도 안돼 발생한 걸로 나타났는데요.

이유는 뭐고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권지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치매 남편을 돌보는 아내들이 모여 서로 위로하는 모임을 찾아갔습니다.

이들은 모두 간병 5년 차에서 9년 차, 지금은 힘겨워도 버틸만하다고 느끼지만, 처음에는 눈앞이 캄캄했다고 합니다.

[현옥이 (70세)/간병 7년 차 : 막막해요. 그냥 막 나도 죽고 싶고, 잠도 안 오고 같이 뜬눈으로 밤도 새고 울기도 같이 울고….]

[신정순 (51세)/간병 5년 차 : 처음에는 지금 말해도 발이 동동동 굴러진다, '나 이거 어떻게 하냐'고 하면서….]

17년 치 간병 살인 사건 판결문 228건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간병 초기가 가족의 위기임이 드러납니다.

간병 살인의 가해자는 평균 2년 4개월 간병한 걸로 나타났는데, 간병 시작 1년 이내 범행이 78%로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광고 영역

간병 살인의 76%는 다른 가족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이른바 '독박 간병' 중 일어났는데 범행 동기를 보면, 간병 생활에 지쳐 더는 못하겠다는 처지 비관, 즉 '돌봄 효능감 저하'가 53%로 가장 많았고, 환자의 음식 거부, 이상 행동 등에 따른 간병 스트레스가 24%, 피해자 고통을 줄이기 위해서인 경우가 10%로 조사됐습니다.

[김성희/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 실장 (보고서 저자) : 버틸 수 없는 상황에서 간병 살인이 일어난 게 아니라 처음부터 버틸 수 없는 구조 속에 던져진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간병 1년 이내, 독박 간병 중에 범행이 발생하는 경우가 높은 걸 감안하면, 맞춤형 초기 개입이 꼭 필요해 보입니다.

[정순둘/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네비게이터(안내자)가 병이 어떤 식으로 전개되니까 그럴 때 필요한 자원은 어디서 받을 수 있고, 그 다음에 어느 정도 진전됐을 때 이제 더 이상 케어는 어렵다는 식의 안내가 필요한 거죠.]

환자 가족들이 '독박 간병'에서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도록 재가 돌봄 지원을 활성화하는 것도 간병의 무게를 덜어주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 한일상·배문산·신동환, 영상편집 : 윤태호, 디자인 : 장예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단독보도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