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3연속 금리동결에도 한은 29일 낮출듯…경기부양 '발등의 불'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5일(현지시간) 오전 아시아개발은행 연차총회 참석차 방문한 이탈리아 밀라노의 한 호텔에서 기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1월, 3월에 이어 이달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통화 완화 속도를 늦췄습니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큰 이변이 없는 한 오는 29일 금리를 낮출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준은 6∼7일(현지 시각)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정책금리(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연 4.25∼4.50%로 유지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등이 줄기차게 연준에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데도 연준이 올해 들어 5개월 가까이 금리를 건드리지 않는 것은, 관세 인상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과 경기 하강(고용 불안) 가능성을 동시에 걱정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연준도 이날 성명에서 "경제 전망 불확실성이 더 증가했다"며 "실업률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더 높아질 위험이 커졌다"고 진단했습니다.

이번 연준의 결정으로 한국(2.75%)과 미국(4.25∼4.50%)의 기준금리 차이는 1.75%p로 유지됐습니다.

지난달 17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1,500원대를 넘보는 원/달러 환율과 다시 들썩이는 가계대출 등을 명분으로 기준금리를 2.75%로 묶었습니다.

광고 영역

하지만 동시에 올해 경제 성장률이 2월에 낮춘 예상치(1.5%)에도 크게 못 미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사실상 이달 큰 폭의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과 기준금리 인하를 예고했습니다.

당시 이창용 한은 총재도 "금융통화위원 6명 모두 3개월 내 기준금리를 연 2.75%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 열어둬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따라서 과거 말씀드린 것보다 (5월) 인하 가능성이 크다고 (시장이) 받아들일 것"이라고 인정했습니다.

더구나 지난달 24일 발표된 올해 1분기(1∼3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2%에 그치자 시장은 충격 속에 이달 금리 인하를 확신하고 있습니다.

이 총재 역시 최근 이탈리아 밀라노 출장 중 기자 간담회에서 "기준금리를 내린다는 것을 의심하지 말라"며 "경기 상황에 따라 금리를 충분히 낮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시장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당초 예상보다 올해 한은의 금리 인하 횟수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발 관세전쟁의 강도가 예상보다 높고 추가경정예산(이하 추경) 등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정책의 집행 시기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금리라도 일단 더 낮춰야 소비와 투자에 숨통이 트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작년 말까지만 해도 올해 2월과 5월, 상반기 두 차례 인하로 올해 통화 완화 기조가 끝날 것이라는 관측도 적지 않았지만, 이제 하반기 인하까지 포함해 '연내 3회 이상'이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 총재는 밀라노에서 금리 인하 폭과 횟수와 관련한 질문에 "(연내 인하 횟수를 늘려 금리를 더 낮출 필요가 있는지) 5월 경제 전망 때 성장률이 얼마나 낮아지는지 보고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경기 부양을 위한 '빅컷'(0.5%p 인하) 여부도 경제 데이터를 보고 결정하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습니다.

경기·성장 상황이 예상보다 심각한 만큼 금리 인하의 명분은 충분하지만, 환율 등 금융시장 불안이 걱정거리입니다.

원론적으로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을 크게 밑돌면,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원화 약세로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수입 물가 상승과 함께 국내 인플레이션 압력도 커집니다.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기준금리 동결을 지지한 한 금통위원은 회의에서 "원/달러 환율은 국내 정치 불확실성 해소에도 불구하고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1,400원대 후반까지 이르렀다가 이후 초중반 수준에서 등락했다"며 "외환 수급이 대체로 안정세를 보이고는 있으나, 상당 폭의 거주자 해외 증권투자와 외국인 증권자금 순유출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