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영상

[자막뉴스] 은퇴 선언한 워런 버핏…미국에 남긴 마지막 쓴소리


동영상 표시하기

'소박한 억만장자' 워런 버핏이 이끄는 투자기업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

전설적 투자자의 견해를 듣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몰렸습니다.

특히 올해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터라 열기는 더 뜨거웠습니다.

하지만 그의 입에서 나온 건 깜짝 은퇴 선언이었습니다.

[워런 버핏/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 그레그 부회장이 위대한 인물로 나설 때가 왔습니다. 올해 연말, 그가 회사의 최고경영자가 될 것입니다.]

11살 때 첫 주식 투자를 시작한 뒤 장기, 가치투자 방식으로 자신만의 투자 철학을 만들어 낸 인물입니다.

버핏은 주주와의 대화에서 미 정부 정책에 대한 견해도 밝혔습니다.

먼저 무역이 무기가 돼선 안된다며 트럼프발 관세전쟁을 비판했습니다.

[워런 버핏/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 제 생각에 (전세계) 75억 명이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데, (미국인) 3억 명이 자신들이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 자랑하는 건 큰 실수라고 봅니다.]

반면 논란을 빚고 있는 연방 정부 구조조정과 재정적자 축소에는 불가피하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광고 영역

정부 내 만연한 관료주의와 지속불가능한 현재 재정적자 상황을 이유로 들었습니다.

기술발전이 미칠 영향을 설명하는 과정에서는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며 북한을 직접 거론했습니다.

[워런 버핏/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 북한에 그런 사람(김정은 위원장)이 있잖아요. 머리 모양만 좀 비판해도, 무슨 일을 벌일지 아무도 모릅니다. 북한이 왜 핵무기를 필요로 하죠?]

트럼프 정부 출범 후 출렁이고 있는 시장을 향해서는 두려움과 흥분 같은 감정이 투자를 좌우하도록 해서는 안된다고 조언했습니다.

(SBS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뉴스영상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