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무역 불공정" 강조…재계 "관세 완화" 호소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지난달 미국과의 통상 협의에서 우리 정부가 자동차 관세를 없애 달라고 요구했지만, 미 백악관은 미국산 자동차가 한국과 일본 시장에서 '무역적자'를 보고 있어 이걸 해결해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습니다. 미 재계는 소기업 제품이나 미국 내 생산이 어려운 제품에는 관세를 면제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보도에 워싱턴 남승모 특파원입니다.

<기자>

잇단 정책 혼선 속에서도 백악관이 관세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밀러 백악관 정책 담당 부비서실장은 관세 부과 후 미 자동차 업체들이 겪고 있는 피해 지원책을 묻는 질문에, 핵심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미국 내에 엄청난 투자를 발표하고 있는 거라고 말했습니다.

한때 전 세계를 지배했던 미국의 자동차 산업이 지금은 미미해졌다며 이는 미국이 불공정 경쟁을 하는 외국에게 시장을 개방한 반면, 이들 국가는 자국 시장을 닫아버렸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을 예로 들며 이런 자동차 무역 불균형은 공정한 무역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스티븐 밀러/미 백악관 정책 담당 부비서실장 : (자동차 대미 흑자를 내는 나라들은) 최소한 미국과 어느 정도 1인당 GDP가 비슷한 국가들입니다. 따라서 공정무역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런 무역 불균형은 도저히 불가능한 일입니다.]

중국에 대한 궁극적인 통상 목표를 묻는 질문엔 중국이 지식재산권을 훔치고 불법적으로 무역 흑자를 올리는 걸 용납하지 않는 무역관계를 맺는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광고 영역

관세 여파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재계 대표 단체 중 하나인 미 상공회의소는 트럼프 정부의 통상 정책을 지지한다면서도 피해가 우려되는 소기업에 대한 관세 면제를 요청했습니다.

또 미국에서 생산이 어렵거나 구하기 어려운 제품이나 광물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해 달라고 건의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민간 메신저에 군사기밀을 유출했다는 논란으로 해임 요구가 빗발쳤던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을 유엔 대사에 지명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정용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트럼프 관세전쟁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