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프랑스에 배터리 재활용 공장 짓는다…연간 2만t 규모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LG에너지솔루션이 프랑스 기업과 손 잡고 프랑스 현지에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세웁니다.

가격·수급 변동성이 큰 배터리 핵심 원자재를 안정적으로 수급하고 유럽연합(EU)의 배터리 재활용 규제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취지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프랑스 1위 메탈 재활용·환경 서비스 기업 데리시부르그(이하 DBG)와 손잡고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JV)을 설립했다고 오늘(29일) 밝혔습니다.

유럽 내 첫 한-유럽 리사이클 합작 기업입니다.

양사의 지분율은 50대 50입니다.

합작법인은 프랑스 북부 발두아즈 지역 브뤼에르 쉬르 우아즈에 2026년 착공한 뒤 2027년 본격 가동을 시작합니다.

연간 2만t 이상의 사용 후 배터리 및 스크랩 처리 능력을 갖출 예정입니다.

신규 합작법인은 현지에서 수거된 사용 후 배터리 및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정 스크랩을 안전하게 파·분쇄해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 매스'를 만드는 전(前)처리 전문 공장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사용 후 배터리는 국외 운송이 까다롭고 운송 비용도 높아 원활한 자원 확보를 위해서는 배터리 수요가 많은 지역 내 전처리 공장 설립이 중요하다"며 "이번 협력이 유럽 배터리 리사이클 사업 확대의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양사는 LG에너지솔루션의 유럽 생산 거점인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을 통해 제공된 배터리 공정 스크랩과 DBG가 프랑스 및 인근 지역에서 수거한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해 원료를 확보해 나갈 계획입니다.

광고 영역

유럽자동차공업회(ACEA)에 따르면 프랑스는 2024년 기준 전기차 판매량(29만 614대)이 유럽 전체 전기차 판매량(199만 3천102대)의 15%를 차지할 정도로 배터리 수요가 큰 시장으로, 향후 사용 후 배터리도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DBG는 프랑스 전역에 200여 개가 넘는 수거 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빠르게 증가하는 프랑스의 사용 후 배터리 자원을 효과적으로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처리 과정으로 추출된 블랙 매스는 후(後)처리 공정을 통해 리튬, 코발트, 니켈 등 핵심 메탈로 재생산되고, 이후 양극재 생산과정을 거쳐 LG에너지솔루션 글로벌 생산시설에 최종 공급될 예정입니다.

블랙 매스는 사용 후 배터리에 비해 운송이 용이한 만큼 후처리 공장은 대규모 공장 부지, 고용 인력, 투자비 등을 고려해 위치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유럽 내 지속가능한 배터리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하고 유럽 배터리 재활용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2024년 시행된 EU의 '배터리 및 폐배터리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2031년부터 유럽 내 배터리 원재료 재활용 비율은 코발트 16%, 리튬 6%, 니켈 6%로 의무화됩니다.

2036년부터는 코발트 26%, 리튬 12%, 니켈 15%로 기준이 상향되는 만큼 선제적인 투자를 통한 규제 대응이 필수적인 상황입니다.

가격 경쟁력을 갖춘 핵심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조달해 공급망 경쟁력을 높이고, 유럽 내 생산·판매·리사이클 등 배터리 전 생애주기에 이르는 자원 선순환 체계를 공고히 해 고객가치 역량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강창범 LG에너지솔루션 최고전략책임자(CSO) 전무는 "이번 협력을 통해 안정적 배터리 공급망 구축은 물론 유럽 배터리 리사이클 규제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배터리 리사이클 사업에서도 차별화된 기술 및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최고의 고객가치를 선보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압데라만 엘 어피어 DBG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파트너십은 환경적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 설루션 개발이라는 우리의 목표를 전폭적으로 뒷받침하는 동시에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LG에너지솔루션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