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시 한 오름에 걸린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수칙' 현수막
제주지역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A(72·서귀포시) 씨는 이달 초부터 고사리 채취 등 야외 활동을 해왔으며, 지난 22일 발열과 전신 쇠약감 등 증상을 보여 어제 검사한 결과 SFTS 양성 판정을 받아 병원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SFTS는 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구토·설사 등 소화기 증상, 혈소판 감소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진드기는 전국에 분포하며, 주로 숲과 목장, 초원 등에 서식합니다.
제주는 환경 특성상 봄철 고사리 채취와 오름 등반 등 야외 활동 여건이 용이해 매년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SFTS는 치료제와 예방 백신이 없고 치사율이 높아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입니다.
진드기는 봄부터 가을까지 왕성하게 활동하며, 야산 지역의 발목 높이 초지에서 참진드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농작업이나 야외 활동을 할 때 긴소매 옷과 긴 바지를 착용하고 진드기 기피제를 적절한 주기로 사용하는 등 예방 수칙을 지키고, 야외 활동 후에는 몸을 씻으면서 참진드기가 몸에 붙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야외 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38∼40도), 소화기 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야외 활동 이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사진=제주도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