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영상

[자막뉴스] 자영업자 쥐어짜기 끝판왕…이쯤 되면 '수수료의 민족'


동영상 표시하기

국내 1위 배달 플랫폼인 배달의민족이 지난주부터 포장 주문에도 6.8%의 수수료를 매기기 시작했는데요.

그간 내지 않았던 비용을 치르게 된 자영업자들은 포장 고객들에게 제공하던 혜택을 거둬들여야 하는 상황이 됐는데, 사장님 공지란에 수수료라는 단어 자체가 금지어로 지정돼 있어 자율적인 안내조차 어렵다는 하소연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자영업자 커뮤니티에 올라온 게시글입니다.

식당을 운영하는 글쓴이는 새롭게 바뀐 배민(배달의민족) 수수료 정책 때문에 더는 할인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내용의 공지를 올렸는데, 이윽고 배달의민족으로부터 부정적인 단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해당 공지글의 승인이 어렵다는 안내 문자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수수료라는 단어 자체가 금지어로 지정돼 있다 보니, 업주들은 사정을 알리기 위해 수수료와 발음이 비슷한 단어를 사용하거나, 완곡하게 표현을 달리하기도 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정 단어를 쓸 수 없도록 막는 정책이 업주 측 표현의 자유, 그리고 소비자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조치라는 지적이 잇따랐는데, 배달의민족 관계자는 SBS에 일부 단어의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는 이번 수수료 부과 이전부터 있었던 정책이라며 가게 소개와 관련 없는 정보는 업주가 작성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소비자 안내라는 목적에 부합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배달의민족 포장 서비스를 해지하고 포장 주문은 전화로 직접 받겠다는 업주들도 늘고 있는데, 배민에선 '전화 주문' 키워드 역시 금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갈등이 심화되자 정부는 배달의민족을 포함한 플랫폼 3개 사를 대상으로 자영업자들과 얼마나 상생 협력했는지를 살펴보는 지표를 마련해 이르면 올 하반기 평가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뉴스영상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