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도 백신도 없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 환자 올해 첫 발생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제초기

질병관리청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올해 처음으로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SFTS는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됩니다.

올해 첫 환자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 거주하는 80대 여성으로, 집 주변에서 농작업 중 진드기에 물린 후 구토와 38.1도의 발열, 전신 쇠약, 식욕 부진 증상을 겪었습니다.

이후 의료 기관에 방문해 SFTS 확인 진단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올해 SFTS 첫 환자 발생은 2022년 4월 11일, 2023년 4월 5일, 지난해 4월 23일 등 최근 3년간의 발생일과 비슷했습니다.

SFTS는 치료제와 예방 백신이 없고 치명률이 높은 감염병으로, 주로 4∼11월에 발생합니다.

물린 후에는 2주 안에 고열(38∼40도), 설사, 근육통,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중증일 경우 혈소판·백혈구 감소로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광고 영역

SFTS가 2013년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부터 지난해까지 총 2천65명의 환자가 나왔고, 이 가운데 381명이 사망해 치명률은 약 18.5%였습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감염 위험 요인은 논·밭 작업과 성묘, 벌초 등 제초 작업이 가장 많았습니다.

이에 따라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해서 입어야 하고, 농작업이나 야외 활동 후 2주 안에 발열이나 설사 등 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받아야 합니다.

진드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긴 옷이나 모자, 양말 등을 착용해 피부 노출을 줄이고, 기피제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2013년부터 현재까지 직접 진드기에 물리지 않은 SFTS 2차 감염자는 총 30명이 나왔습니다.

이 중 의료인이 27명으로, 이들은 병원 내에서 SFTS 환자와 의심 환자를 진단·치료하는 과정에서 감염됐습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사진=질병관리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