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톤 또 밀려왔다…"악취에다 벌레도 꼬여" 제주 발칵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16일 오전 제주시 이호해수욕장에 미역이 대량으로 파도에 떠밀려와 제주시 바다환경지킴이가 수거작업을 하고 있다.

제주를 대표하는 해수욕장 가운데 하나인 제주시 이호해수욕장에서 때아닌 미역과의 전쟁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17일) 오전 이호해수욕장에는 지난 16일에 이어 엄청난 양의 미역 더미가 또다시 밀려왔습니다.

얕은 바다에 떠다니던 미역 더미가 거센 파도를 타고 백사장으로 올라온 것입니다.

제주시 소속 바다환경지킴이와 공공근로자 20여 명은 오전 8시부터 쓰레기 포대 수백 개를 가지고 나와 미역 수거에 나섰습니다.

떠밀려온 미역의 양이 막대해 트랙터가 동원됐지만, 트랙터가 작업에 적합지 않아 결국 사람 손으로 미역을 포대에 담아 치우는 작업이 반복됐습니다.

지난 16일 떠밀려온 미역의 양만 무려 20t 가량으로 폐사한 미역을 담은 포대를 실은 1t 트럭은 30회 이상 이 쓰레기 집하장을 오갔고, 오늘도 상황은 비슷했습니다.

바다환경지킴이 등이 폐사한 미역 더미를 치우느라 구슬땀을 흘리는 동안 해변을 찾은 관광객과 시민은 수거 작업 현장을 피해 다녀야 했습니다.

광고 영역

미역이 부패하기 시작하면서 악취와 함께 해충들이 꼬이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박재범 바다지킴이 작업반장은 "3년 동안 여기서 지킴이 활동을 했지만, 미역이 이렇게나 어마어마하게 떠밀려온 건 처음 본다"며 "치우는 중에도 계속해서 밀려들고 있다"고 했습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미역이 대량으로 바닷가로 떠밀려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입니다.

수십t에 달하는 미역이 백사장으로 떠밀려 온 이유를 놓고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관련 기관도 조사에 나섰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지난 주말쯤부터 이어진 거센 풍랑으로 바위에 붙어 있던 미역이 떨어져 나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강형철 제주도해양수산연구원 연구사는 "최근 떠밀려온 미역은 지난해 12월쯤부터 자라기 시작했던 것"이라며 "미역의 밑동을 포함한 전체적 상태가 좋은 것으로 볼 때 최근 4.5m에 달하는 강한 파도가 수일간 몰아치는 과정에서 물리적인 힘에 영향을 받아 떨어져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강 연구사는 "단년생인 미역은 수온이 17도 가량일 때 포자 방출을 시작해 확산한 뒤 여름을 거치는 동안 휴면 상태에 있다가 지난해 12월쯤 발아해 최근까지 성장에 적합한 수온이 유지되면서 왕성하게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얕은 수심에 있거나 떠밀려온 지 얼마 되지 않은 미역은 섭취가 가능할 정도로 상태가 좋다"면서도 "떠밀려온 미역을 먹는 것은 상태를 보고 신중하게 판단하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제주도해양수산연구원은 당분간 미역이 이호해수욕장으로 추가 유입될 것으로 보고 정확한 미역 유입량과 자세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에서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