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항구에 정박한 배에 중국 국기가 걸려있다.
전 세계에 관세 폭탄을 쏘아 올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국제 경제 무대에서 중국을 고립시키기 위한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향후 진행될 70여 개국과의 상호관세 협상에서 미국이 관세율을 낮춰주는 대가로 중국과 거래를 끊도록 압박해 중국 경제에 타격을 주겠다는 전략으로 조만간 이뤄질 한국과 협상에서도 이런 요구가 나올지 주목됩니다.
WSJ는 미국 정부가 이미 일부 국가와의 초기 협상에서 이런 구상을 거론했다고 전했습니다.
백악관이 관세 장벽을 낮춰주는 대신 중국이 해당 국가를 거쳐 상품을 운송하는 것을 막고 중국 기업이 미국의 관세를 피하기 위해 해당 국가에 회사를 세우거나 중국의 값싼 공산품을 받아들이지 않도록 요청했다는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스페인어 프로그램 '폭스 노티시아스'와 인터뷰에서 각국이 미국과 중국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며 이 같은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WSJ에 따르면 이번 전략을 주도하고 있는 인물은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입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6일 마러라고에서 열린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의 무역 상대국을 압박하면 중국이 미국의 관세 장벽을 우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며 이 같은 구상을 제안했다고 합니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 경제를 고립시키기 위해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을 퇴출하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그는 지난 9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도 중국 기업의 미국 증시 상장 폐지에 대해 "모든 것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미국의 이런 중국 고립 전략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고 중국의 협상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평가됩니다.
WSJ는 각국에 대한 요구 조건은 중국 경제와의 밀접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또 미국과 초기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일부 국가의 경우 중국과 관련한 요구를 듣지 못했다고 언급한 만큼 모든 국가에 중국 고립 조건이 제안될지도 불분명하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대부분 트럼프 행정부가 조만간 각국에 중국 관련 요구사항을 거론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이르면 16일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과 만나 관세 협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다음 주에는 한국과 협상을 하겠다고 예고했으며 영국, 호주, 인도도 우선 협상국으로 거론했습니다.
중국은 이런 미국의 압박에도 당장은 굴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피터 해럴 전 백악관 국제경제 담당 선임 국장은 조지타운대 로스쿨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도박'을 기회로 보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해럴 전 국장은 다만 미국은 여전히 대규모 순수입국인 반면 중국은 수입을 줄이고 내수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중국의 대응 전략은 제한적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 대해 "공은 중국 코트에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성명에서 "중국은 우리와 협상을 해야 하지만 우리는 중국과 협상할 필요가 없다"며 "중국은 다른 나라처럼 우리가 가진 것, 미국 소비자를 원하며 다른 식으로 말하면 그들은 우리 돈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