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의 에너지 분야 협력 방안 모색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외교부는 최근 '한미 에너지 안보 협력 방안'을 주제로 연구용역 입찰 공고를 냈습니다.
오늘(10일) 입찰 제안서를 보면 외교부는 "'에너지 안보 강화'가 중요 국가 과제로 대두됐다"면서 "신뢰성 있는 우호국 특히 미국과의 에너지 안보 협력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면서 연구용역을 추진하는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트럼프 2기 정부는 재생에너지 지원 정책을 폈던 전임 조 바이든 정부와 달리 화석연료와 원자력 발전을 적극 활용하는 등 달라진 에너지 정책을 펴고 있어 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이 취해야 할 대미 에너지 정책을 제언해달라는 것입니다.
특히 미국산 석유·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협력 방안을 파악하고 미국 내 환경 규제 철폐에 따른 한국 에너지 기업 진출 기회를 탐색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또,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한미 원자력 관련 실질적인 협력 추진 방안을 모색하고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을 제언해달라고 했습니다.
트럼프 정부가 알래스카 LNG 가스관 사업에 한국의 참여를 원하고 있고 미국산 LNG 판매 등에서도 한국과의 협력을 희망하는 상황에서 한미 양국에 모두 도움이 되는 방안 마련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이런 사업들은 미국과의 상호관세 후속 협상에서 한국의 협상 카드의 하나로도 거론되는데, 이번 연구용역은 이와 별개로 보다 긴 호흡에서 미국과의 에너지 협력 전략을 짜기 위한 취지로 보입니다.
한미 외교장관은 지난 2월 뮌헨안보회의 계기로 연 회담에서 조선업과 함께 원자력·LNG 등 에너지 분야가 양국의 전략적 협력 과제라는 데 공감한 바 있습니다.
외교부는 연구용역 결과물을 올해 하반기에 열리는 한미 에너지 안보 대화 등 계기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