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산불에 절실했던 '단비'…인공강우로 안 되나?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대형 산불을 앞으로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오늘(3일)도 짚어보겠습니다. 잡힐 만하면 다시 번지는 이번 산불을 보며 무엇보다 간절했던 게 비 소식이었습니다.

필요할 때 비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인공강우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많이 나왔는데, 서동균 기자가 우리 기술은 어디까지 왔는지 취재했습니다.

<기자>

제주도에 있는 국립기상과학원.

인공강우 실험이 한창입니다.

구름의 씨앗 역할을 하는 요오드화은을 태워 작은 가루로 만든 뒤 온도, 습도, 기압, 먼지양 등이 구름 속과 비슷한 영하 10도 실험실에 투입합니다.

이 거대한 원통형 실험실이 하나의 구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강수를 유발하는 구름 씨를 이곳 구름 내부로 뿌려 강수 입자를 키우는 겁니다.

씨앗이 투입되자 실험실 내부에서 얼음 입자가 만들어지기 시작합니다.

광고 영역

흡습성 화학물질에 구름 속 수증기가 달라붙어 빗물로 떨어지는 원리입니다.

지난 2018년부터는 기상 항공기로 강원과 서해안 일대 구름에 인공강우 실험을 하고 있는데, 절반 이상은 비의 양을 늘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평균 증우량은 1~2mm지만, 강원도에서는 4.5mm를 늘린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본격 투입을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습니다.

[차주완/국립기상과학원 기상응용연구관 : 어떤 구름일 때 어떤 형태의 어떤 방법으로 하면 가장 좋더라 하면 그런 방식들이 정해지면.]

미국은 일찌감치 지난 1977년부터 27년간 인공강우 실험을 통해 여름 강수량을 최고 10% 늘렸다는 결과까지 내놨습니다.

전 세계 9개 나라가 인공강우 기술을 연구 중이지만, 미국을 제외하고는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은 지형 특성상 더 많은 데이터를 축적해야 합니다.

[장기호/국립기상과학원 기상연구관 : 구름도 이제 다 똑같은 게 아니기 때문에 그 (증우) 효율이 높은 부분이 있어요.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계속 조정해 가면서 하는 기술에.]

인공강우는 구름이 형성돼 있을 때 이 구름을 비구름으로 바꿔주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땅이 너무 메마르지 않게 조절해 산불 예방에 기여하는 효과부터 기대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했습니다.

(영상취재 : 양지훈, 영상편집 : 박나영, 디자인 : 장성범·장예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