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영상

[자막뉴스] 서민들 1,2억 모으기도 힘든데…'너무나 쉬운' 아파트 매매법


동영상 표시하기

지난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강남권을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크게 뛰자,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지난달 10일부터 현장점검을 진행했습니다.

점검반과 문을 걸어 잠근 중개업자들 사이의 숨바꼭질이 이어졌습니다.

[잠실 부동산 중개업자 (지난달) : 단속할 때 한 열흘에서 보름은 조심해야 돼요. (손님 오면) 인테리어 사무실 같은 데 있잖아요. 빈 사무실에 가서 좀 살짝 얘기했다가 왔다 갔다….]

집값 담합이나 부적절한 자금 조달 등에 대한 현장 점검이 이뤄졌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을 앞두고는 막판 투기 수요를 찾아내는 집중 단속으로 이어졌습니다.

[부동산 이상 거래 현장점검반 (지난달) : 매수인은 실제로 자기가 부담해야 되는 게 전세 빼면 (전세가) 4억 원이니까 8억, 7억 5천만 원 정도 되는데 자금 조달은 어떻게 한다고 혹시 들으셨어요?]

국토부는 1~2월에 거래 신고된 것 중에서 이상 거래로 의심되는 204건을 분석했고, 20여 건의 위법 의심 사례를 확인했습니다.

한 아파트 매수인은 아버지 소유 아파트를 15억 원에 사면서 본인 자금은 4억 원만 사용하고 아버지에게 보증금 11억 원을 받는 전세 계약을 맺었습니다.

또 다른 매수인은 47억 원짜리 아파트를 사면서 30억 원은 아버지에게서 빌렸습니다.

특수관계인 간 보증금 과다, 또는 편법 증여로 의심돼 국세청에 통보했습니다.

광고 영역

한 아파트 커뮤니티 앱에서는 특정 가격 이상으로 거래를 유도한 정황도 나와 지자체에 정밀 조사를 요청했습니다.

정부와 서울시는 압구정, 여의도, 목동, 성수동 등 기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대상으로 실거주 의무 위반 여부도 집중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뉴스영상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