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얀마 강진 사망자 수가 3천 명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지진 발생 엿새째지만, 장비와 인력부족으로 구조 작업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윤창현 기자입니다.
<기자>
미얀마 수도 네피도의 건물 붕괴 현장.
강진 발생 후 무너진 건물 잔해 아래 무려 91시간 동안 갇혀 있던 63살 여성 1명이 극적으로 구조됐습니다.
미얀마 소방당국은 진앙인 만달레이에서만 403명을 구조하고, 260여 구의 시신을 수습했다고 밝혔습니다.
강진 발생 이후 6일째, 필사의 구조노력이 이어지고 있지만 학교와 사찰, 모스크 등이 붕괴하면서 많게는 수백 명씩 매몰된 곳이 많아 희생은 시간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파악된 사망자만 3천 명에 육박하고 있는 가운데 장비와 인력, 구호물품 등 모든 것이 부족해 구조와 복구작업은 더디기만 합니다.
[줄리아 리스/유니세프 미얀마 담당 부대표 : 분명히 말하지만, 구조와 복구 지원이 시간이 갈수록 절실해지고 있습니다. 생명을 구할 기회가 닫혀가고 있습니다. 피해지역 전역에서 식수와 음식, 의약품 부족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여진이 이어지면서 중상자들 조차 병원 밖에 노상에서 치료를 받고 있고, 주민들은 노숙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사가잉 등 반군 장악 지역은 미얀마 군부의 통제로 접근이 어려워 피해상황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고, 구호작업은 엄두도 내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40도 폭염에 식수 부족까지 겹치면서 지진 피해에 이은 전염병 확산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만달레이에 고립됐던 우리 교민들에게는 다행히 현지 대사관에서 영사 인력과 긴급 구호품을 지원해 최악의 고비는 넘겼습니다.
(영상편집 : 이승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