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은 순이익 7조 8천189억 원…역대 두 번째 규모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지난해 한국은행의 당기순이익이 1년 전보다 크게 늘어 7조 8천억 원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은이 오늘(28일) 발표한 '2024년도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순이익은 7조 8천189억 원으로, 2023년(1조 3천622억 원)보다 6조 4천567억 원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순이익 규모는 역대 최대였던 지난 2021년의 7조 8천638억 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한은 순이익은 일반 회사와 달리 금리, 주가, 환율 등에 좌우되는데, 지난해에는 유가증권 매매익과 유가증권 이자를 중심으로 총수익이 증가한 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은은 설명했습니다.

총수익은 26조 5천179억 원으로 전년보다 7조 711억 원 늘었습니다.

반면, 총비용은 16조 1천208억 원으로 1조 4천622억 원 줄었습니다.

유가증권 매매손(8조 2천626억 원)을 중심으로 영업비용이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순이익 중 30%(2조 3천457억 원)의 법정적립금 등을 제외한 5조 4천491억 원은 정부 세입으로 처리됐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한은의 총자산 규모는 595조 5천204억 원으로 2023년 말(536조 4천19억 원)보다 59조 1천185억 원 증가했습니다.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외화 자산의 원화 환산 규모가 증가한 영향입니다.

광고 영역

부채(567조 1천549억 원)도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평가조정금 증가로 52조 2천531억 원 늘었습니다.

한은이 보유한 외화 자산(국제통화기금 포지션·금·특별인출권 제외) 가운데 8.0%는 현금성 자산, 67.2%는 직접투자자산, 24.9%는 국내외 자산운용사와 한국투자공사(KIC) 등에 맡긴 위탁자산이었습니다.

외화 자산을 통화별로 나눠보면 미국 달러화가 71.9%, 기타 통화가 28.1%를 차지했습니다.

달러 비중은 전년보다 1.0%포인트(p) 높아졌습니다.

상품별 비중은 정부채 47.3%, 정부기관채 10.1%, 회사채 10.4%, 자산유동화채 11.6%, 주식 10.2%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