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국토부와 사고조사위 구성…강동구 싱크홀 원인 밝힌다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서울시는 그제(24일)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땅 꺼짐)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함께 조사위를 꾸려 원인 규명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

시는 우선 국토부와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지하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른 외부 전문가로 조사위를 구성합니다.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되기 전, 시는 사고 관련 영상과 계측 자료를 최대한 확보해 조사위에 제공할 예정입니다.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싱크홀 우려가 높은 위험 지역을 중심으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도 강화합니다.

사고 발생 장소가 지하철 공사장 인근이라는 점을 고려해 도시철도 건설 공사 구간 42㎞와 주변 보·차도 20㎞에 대해 전면 조사를 시행합니다.

추후 지하 10m 이상 굴착 공사가 진행되는 공사장 300여개소 주변 도로에 대해서도 GPR 탐사를 강화해 추진합니다.

도시철도 건설 공사장 주변 대상지는 총 3곳으로 ▲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건설 공사(1∼3공구) 24㎞, ▲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건설 공사(1∼4공구) 13㎞ ▲ 위례선 도시철도 건설 사업 5㎞ 구간입니다.

시는 사고 이후 4차례에 걸친 GPR 조사를 통해 사고 주변 지역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경찰청과 협의해 내일(27일)부터는 도로 통행도 일부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광고 영역

사고 지점을 제외한 동남로 왕복 6차로 전체와 상암로 왕복 4차로 전체가 대상입니다.

현장 복구는 사고 원인 조사에 지장이 없도록 지하 시설물에 대한 조사 등을 거쳐 계획을 세워 추진할 방침입니다.

시는 아울러 사고 원인으로 거론되는 상하수도를 포함한 지하 시설물, 지하철 9호선 공사, 토질적 특성, 서울세종고속도로 터널 구간 등에 대해서도 정확히 파악하겠단 계획입니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서울시는 국토부와 함께 제기된 다양한 문제점을 빠짐없이 깊이 있게 검토하고 시민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객관적인 원인 조사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