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은행 깡통 대출 3조 넘어 역대 최대…기업·가계 동반 부실↑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주요 시중은행에서 돈을 빌리고 이자도 못 내는 기업과 가계의 부실 규모가 역대 최대로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6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지난해 말 무수익여신 잔액은 총 3조 1천787억 원으로 전년 말보다 15.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연말 기준 무수익여신 잔액이 3조 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무수익여신은 연체 여신과 이자 미계상 여신을 합한 수치로, 이른바 '깡통 대출'로 불립니다.

이자 미계상 여신은 부도업체 등에 대한 여신, 채무 상환 능력 악화 여신, 채권 재조정 여신 등을 포함합니다.

4대 은행 무수익여신 잔액은 지난 2022년 말 2조 2천772억 원, 2023년 말 2조 7천525억 원 등으로 매년 가파르게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같은 기간 무수익여신이 전체 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2년 말 0.18%에서 2023년 말 0.20%, 2024년 말 0.22% 등으로 꾸준히 확대됐습니다.

작년 말 기업 무수익여신 잔액은 2조 1천465억 원으로, 전년 말(1조 8천867억 원)보다 13.8% 증가했습니다.

연말 기준으로 기업 무수익여신 잔액이 2조 원을 웃돈 것은 처음입니다.

전체 기업여신에서 무수익여신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3년 말 0.24%에서 2024년 말 0.25%로 소폭 높아졌습니다.

광고 영역

가계 무수익여신 잔액은 작년 말 1조 321억 원으로, 전년 말(8천660억 원)보다 19.2% 급증했습니다.

역시 처음으로 1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가계 무수익여신 비중은 0.15%에서 0.17%로 올랐습니다.

기업대출 부실화는 경영난을 겪는 기업들이 늘어나는 데 따른 여파로 보입니다.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법원이 접수한 법인 파산 사건은 총 1천940건으로, 전년(1천657건)에 이어 또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특히 취약·영세 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지난 1월 "경기 하방 리스크가 증대된 가운데 내수 부진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저신용 자영업자, 지방 소재 중소기업에 금융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관련 특별지원을 확대했습니다.

가계 상황도 녹록지 않습니다.

한은은 지난해 12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가계대출과 관련, "저소득자를 중심으로 부채 의존도가 심화하면서 중장기적인 시계에서 소득·자산 가격 충격 등에 취약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고령자의 부채 축소가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지 않은 점도 잠재 리스크"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