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영상

[자막뉴스] "사택 주고 아파트 잔금까지" '50억 지원' 통 큰 회사, 금감원에 딱 걸렸다


동영상 표시하기

가상자산거래소 빗썸의 대표이사였던 김대식 고문이 강남의 고가 아파트 잔금을 치르기 위해 11억 원에 달하는 회삿돈을 유용한 것으로 금융감독원 조사 결과 드러났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김 전 대표는 2023년 12월 회사로부터 무려 11억 원을 받았습니다. 임대 사택 제공 명목, 이른바 전세금 명목이었습니다. 금감원은 "김 씨가 사택 계약 담당 임원에게 자신의 분양받은 아파트를 사택으로 계약하라고 요청한 뒤, 그 집을 사택으로 쓸 것처럼 속여 돈을 타냈다"고 밝혔습니다. 김 씨가 이미 38억 원에 달하는 사택을 사용하고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회삿돈 49억 원이 아무런 제재 없이 유용됐다고 금감원은 설명했습니다.

[김태석 팀장/금감원 가상자산검사팀 : ○○○ 분양권자였어요. 어떻게 분양권자가 됐는지는 모르겠지만. 잔금을 치르려고 하다 보니까 돈이 모자라서 회사에 요청을 한 거죠. 나 돈 없으니까 이거 좀 사택 제공처럼 좀 꾸며달라. 기존의 사택은 지금 이미 지원받는 상황에서 더블로 하나를 더 추가한 거죠.]

게다가, 이 아파트를 사택으로 쓰기는커녕 제3자에게 임대해서 28억 원을 추가로 챙기기까지 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전 대표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빗썸 대표이사를 지낸 후 빗썸 고문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금감원은 김 전 대표가 현재 등기임원은 아니지만 사장 직함을 가지고 모사회 지분을 통해 빗썸을 소유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빗썸은 금감원 조사가 진행되자, 부당하게 사용된 11억 원을 회수하고 인사위원회를 통해 징계를 내렸습니다. 빗썸의 또 다른 현직 임원도 자기 자신에게 사택 임차 보증금 30억 원을 '셀프 지원'한 사실도 조사 결과 드러났습니다. 금감원은 "이 같은 방식으로 회삿돈을 유용한 전현직 임원은 4명으로 이들이 지급받은 돈만 116억 원에 달한다"며 "빗썸의 사택 지원이 지원 한도와 기간, 보증금 회수 방법 등 아무런 내부 통제 절차 없이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금감원은 김 전 대표 등을 배임 혐의로 서울남부지검에 고발했고, 지난 20일 빗썸 등에 대한 압수수색이 진행됐습니다.

(취재 : 채희선, 영상편집 : 이승진,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뉴스영상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