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가자 병합 위협…하마스, 전쟁 격화 속 미국 중재안 검토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가자지구 전쟁 재개에 다시 피란에 나서는 팔레스타인 주민들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일부를 영구적으로 점령하겠다며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대한 압박 수위를 끌어올렸습니다.

이스라엘군 계속된 지상작전으로 가자지구 내 인도주의 위기가 악화하는 상황에서 하마스는 미국이 제안한 중재안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현지시간 21일 군에 가자지구 일부 지역을 점령하고,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이주시킬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카츠 장관은 이어 하마스가 모든 인질을 송환하지 않을 경우 점령 범위를 계속 넓혀 종국에는 점령지에 대한 영구적인 통제가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카츠 장관은 또 "하마스를 무찌르고 모든 인질이 풀려나도록 가자지구에 대한 포격을 강화하는 한편 지상군의 투입도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스라엘 군은 2023년 10월 하마스가 이스라엘 기습 후 가자지구로 끌고 간 인질 251명 중에 59명은 아직 가자지구에 남아 있고, 이 가운데 24명은 생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마스는 인질을 가자지구 내 지하터널 등 은신처 곳곳에 나눠 감금하고 있으며 이들을 인간방패로 삼아 협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광고 영역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이끄는 이스라엘 총리는 인질이 위험해질 수 있다는 우려 속에도 최근 휴전을 끝내고 가자지구 공격을 재개했습니다.

이스라엘은 42일간의 휴전 1단계가 3월 1일 만료된 이후 하마스와의 휴전 연장 논의가 난항을 겪자 가자지구로의 인도적 지원 반입을 중단시켰습니다.

가자지구 내 민간인의 고통까지 급격히 악화하는 이 같은 봉쇄 조치에다 최근에는 대규모 군사작전을 재개했습니다.

이스라엘이 공습을 재개한 지난 18일 이후 사흘간 사망자는 5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마스의 군사정보 조직의 수장이자 표적 감시부대 지휘관인 오사마 타바시도 20일 이스라엘의 표적 공습에 사망했습니다.

카츠 장관의 가자지구 영구 점령 발언에 대해 하마스는 즉시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다만 로이터 통신은 가자지구 전쟁이 격화하면서 하마스가 미국의 중재안에 대한 검토에 나섰다고 보도했습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동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가 제안한 중재안엔 라마단 기간과 유월절까지 휴전을 연장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올해 이슬람 단식성월 라마단은 3월 29일까지이고 유대교 명절인 유월절은 4월 20일까지입니다.

하마스는 위트코프 특사의 중재안과 다른 아이디어를 함께 검토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팔레스타인 당국자는 이집트도 중재안을 제시했지만, 하마스가 아직 답을 주지는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이집트의 중재안엔 미국의 보장하에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남아 있는 인질들을 석방하는 일정을 정하는 방안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하마스를 지원하는 예멘의 반군 후티는 이스라엘 벤구리온 공항을 극초음속 미사일로 공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스라엘군은 예멘에서 온 미사일 한 발을 격추했다고 밝혔습니다.

후티는 미국 항공모함 해리 S.

트루먼호와 관련된 여러 군함에 대한 작전도 수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지난 1월 19일 단계적 휴전에 합의했습니다.

42일간 교전을 멈추고 인질과 수감자를 교환하면서 2, 3단계 휴전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인질 석방 과정에서부터 양측의 갈등이 증폭됐고 휴전 연장 논의도 실패했습니다.

하마스는 영구적인 휴전과 이스라엘군의 완전한 철수를 인질 석방 조건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광고 영역

이에 대해 이스라엘 측은 하마스의 군사적·정치적 기반을 완전히 제거하고 모든 인질을 되찾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최근 예루살렘에서는 베냐민 네타냐후 내각의 가자지구 공습 재개 방침에 항의하는 시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에서 실권이 없는 상징적 국가 지도자 위치인 아이작 헤르조그 대통령은 전날 동영상을 통해 "인질 송환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군사작전 재개는 상상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AF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