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학위수여식 장면
미중 간 기술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중국 명문 대학들이 미국에 유학 중인 인재들을 유치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박사과정에 입학하려면 국내 대학 학위가 필수 요건이던 분위기가 대학들의 적극적인 글로벌 인재 영입 정책으로 인해 변화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4일 보도했습니다.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명문 공립대인 푸단대는 최근 올해 신입생 모집계획을 발표하면서 완화된 박사과정 입학요건을 발표했습니다.
세계 100대 대학 출신 등에 박사 입학을 개방하며, 모집 분야는 컴퓨터 과학과 생물의료공학, 임상의학 등 첨단 기술 분야부터 인문학까지 다양한 전공을 망라했습니다.
푸단대는 2022년부터 해외에서 학부 과정을 마친 중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왔으나, 올해 들어 처음 외부에 공개적으로 홍보했습니다.
푸단대는 공식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박사과정 모집 경로를 확대하고 인재 선발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해외 대학 출신의 우수한 중국인 졸업생을 대상으로 박사과정 직행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푸단대뿐만 아니라 중국 최고 명문대인 칭화대는 해외 명문대 출신의 우수한 중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부 학과에서 박사과정 입학 제도를 시행한다고 지난해 8월 발표했습니다.
또 중국 유명 기업가들의 기부로 탄생한 항저우의 이공계 사립대인 웨스트레이크(시후, 西湖)대도 지난해 10월 수학, 재료과학·공학, 컴퓨터 과학, 환경 과학 등 4개 분야에서 해외 대학 출신 중국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박사과정 공동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에는 미국으로 떠났던 젊은 인재들을 다시 자국으로 데려오려는 중국 당국의 기조가 반영됐다고 SCMP는 짚었습니다.
또 미국 대학들이 최근 대학원 모집을 중단하거나 축소하고, 지원금을 대대적으로 삭감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가 번지고 있는 상황과도 맞물려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푸단대의 한 교수는 "이러한 방식의 (박사) 입학은 중국에서는 흔하지 않다"면서 "연구 중심 대학인 푸단대에서 이를 통해 사회적 책무를 지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어 "미국은 계속해서 연구 지원금을 삭감하는 것뿐만 아니라, 중국인들에게 우호적이지 않은 환경이 되고 있다"면서 "우수한 중국인 학생들이 고국으로 돌아와 학업을 이어가는 것은 최선의 선택 중 하나"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푸단대 발표는 중국에서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특히 중국 국내 학위 없이 공립대에서 박사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지나친 특혜라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중국의 대학 입학시험인 가오카오(高考)를 거쳐 중국 명문대에 입학하려면 수백 대 1에서 수천 대 1의 악명 높은 경쟁률을 뚫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국가에 기여한다는 의미도 중요하지만 이를 통과하지 않고 미국 유학 출신들에게 마치 '프리패스' 같은 기회를 주는 것은 불공정하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중국 교육발전전략학회의 천즈원 학술위원은 중국 현지 매체인 지우파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푸단대의 모집 방식은 처음부터 지도 교수가 확정되는 것이 아닌 집단 면접 진행 후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오히려 불공정 요소가 적다"라면서 반박에 나섰습니다.
그는 이어 "유학생들을 공부도 안 하고 돈 주고 졸업장을 사는 이들로 봐서는 곤란하다"면서 "해외 유학은 중국의 첨단과학 기술 인재들이 배움과 성장을 할 수 있는 중요 경로 중 하나"라고 밝혔습니다.
(사진=SCMP 캡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