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 달러 이상 투자하면 지원"…기준 나왔다?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미국 관세정책을 총괄하는 상무장관이, 한국 기업인들과의 면담에서 미국에 투자할 것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히 10억 달러 이상 투자하면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는데, 투자 기준을 제시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습니다.

이 소식은 워싱턴에서 김용태 특파원이 전하겠습니다.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 한국 경제사절단과 미국 러트닉 상무장관이 지난주 금요일 40여 분간 면담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자리에서 러트닉 장관은 가능한 많은 투자를 요청하면서 10억 달러라는 수치를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10억 달러, 우리 돈 1조 4천억 원이라는 기준선을 제시하며 사실상 투자를 압박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다만 경제사절단 관계자는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라고 요구한 게 아니라, 10억 달러 이상 투자 시 미국 정부의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은 동맹과 파트너의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패스스트랙 절차를 신설하고, 10억 달러 이상 투자에 대해서는 환경 평가를 신속히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습니다.

트럼프 정부 관세 정책을 총괄하는 러트닉 상무장관은 지난주 공식 취임했습니다.

광고 영역

[하워드 러트닉/미 상무장관 : 우리는 한 번도 보지 못한 방식으로 경제를 성장시킬 것입니다.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기꺼이 그 목표를 어깨에 짊어질 것입니다.]

우리 정부는 대미 투자 효과를 강조하면서 트럼프식 상호관세 대상에서 한국을 제외해 달라고 요청한 상태입니다.

또 이르면 이번 주 산업부 장관이 미국을 찾아 본격적인 관세 협상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우기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트럼프 관세전쟁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